본문내용
1. 서론
1.1. 선정이유
울주군은 노인인구와 노년부양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고령화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질환 예방과 건강한 노년을 유지하기 위한 노인 대상 사업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2016년 기준 울주군의 총인구 중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11.6%로 전년 대비 7.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울주군은 넓은 면적과 도·농 복합지역의 지리적 여건상 의료기관 접근성이 취약한 실정이다. 울산광역시 전체 병·의원 개소 1,261개 중 울주군의 병·의원은 150개소에 불과하여 울주군민의 의료기관 이용 접근성이 매우 낮다. 이에 지역주민과 가장 인접한 곳에서 내과, 한의과, 치과 등의 질적 진료서비스 제공 및 내·외부 간 긴밀한 업무를 통한 지역주민의 만성질환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 한편, 보건소 이용자, 주민대표, 전문가 및 유관단체, 공무원, 직원 대상 조사 결과 보건소에서 중점으로 추진하기 원하는 사업 1위가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로 나타났다. 또한 2016년 울주군 사회조사에 따르면 사업대상 우선순위는 노인(29.4%), 성인(21.4%), 아동(16.6%)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사회 현황 분석 결과를 토대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심뇌혈관질환 예방사업을 선정하게 되었다.
1.2. 지역사회 현황
1.2.1. 인구사회학적 특성
울주군은 총인구 219,225명과 86,781가구로 구성되어 있다. 성인인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청소년인구는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노인인구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영유아·아동 28,275명(12.9%), 청소년 16,435명(7.5%), 성인 148,977명(68.0%), 노인 25,534명(11.6%)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료취약가구는 20,521가구(5.1%), 장애인 11,119명(5.1%), 외국인 8,318명(3.9%)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울주군은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취약계층의 비율도 상당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1.2.2. 지리적 특성
울주군은 넓은 면적과 도·농복합지역의 지리적 여건으로 인해 의료기관 접근성이 취약하다. 울주군은 울산광역시에 속해 있는 농·어촌 지역으로 지역이 넓게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