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실천이 추구하는 가장 중요하고 본질적 가치인 인간의 존엄성을 실현하기 위해 사회복지실천영역에서는 비밀보장, 자기결정,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클라이언트의 동의, 알 권리 등과 같은 수단적 가치를 발전시켜 왔다. 의식수준의 향상 및 정보의 다양화 등으로 인하여 사회복지서비스를 받는 클라이언트들은 과거와 달리 사회복지서비스를 정당한 권리로 받아들이고 그 선택과 방법의 결정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고자 하는 주도적인 주체로 변화하고 있다. 본론에서는 알권리를 존중하는 7가지 원칙에 대해 알아보고, 알권리 존중에 있어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2. 알권리 존중의 7개 원칙
2.1. 최대한의 정보 공개와 제공
알 권리는 "일반 국민들과 언론기관이 함께 모든 정보원으로부터 정보를 자유롭게 취득할 수 있는 권리"이며, 이는 크게 소극적 권리와 적극적 권리로 나눌 수 있다. 소극적 측면에서 알 권리는 일반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정보원으로부터 의사형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취사선택할 수 있는 자유 또는 권리와 모든 정보원으로부터 일반적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적극적 알권리는 정보원으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듣고 보고 읽을 자유와 권리를 말한다. 의료분야에서 알권리는 "환자가 자신의 병명, 병상, 병의 진전 및 예측, 진료계획, 치료와 수술에 대한 선택의 자유 및 내용, 약의 이름과 작용 부작용, 필요한 비용에 대해 설명을 받을 권리"이며,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알 권리는 "서비스의 제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 서비스 후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 및 자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권리가 있다."
2.2. 적극적 정보공개 의무
적극적 정보공개 의무는 클라이언트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필요한 모든 사람에게 알리고 함께 공유할 의무를 의미한다. 여기에는 기관의 설립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