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 담도 췌장 구조와 기능
1.1. 간의 구조와 기능
간의 구조와 기능이다. 간은 성인의 무게가 약 1,500g이며 오른쪽 횡격막 아래에 위치한다. 간소엽은 간의 좌우 각엽에 5~19만 개가 있으며 길이가 1~2mm 정도로 매우 가늘고 작다. 간은 문맥계와 정맥혈, 동맥혈을 통해 순환하며 분당 1,100ml의 정맥혈과 400ml의 동맥혈이 간으로 유입된다. 심박출량의 1/4이 간으로 유입되며 응급 시 간에서 500ml의 혈액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동맥, 정맥, 담관, 림프관이 간을 통과하는 문맥삼조체를 가지고 있다. Kupffer 세포는 동양혈관에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혈액을 통해 들어온 세균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간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대사, 해독작용, 담즙생산과 분비, 빌리루빈 대사, 저장, 식균작용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탄수화물 대사에서는 혈당 유지, 당원 분해 및 당원 신생을 담당하고, 단백질 대사에서는 단백질 이화작용과 단백질 합성을 수행한다. 지방 대사에서는 탄수화물과 단백질로부터 지방을 합성하는 역할을 하며, 해독작용을 통해 많은 약물을 해독한다. 또한 담즙을 생산하고 분비하며, 빌리루빈의 대사와 저장기능, 식균 작용을 담당한다.
1.2. 담낭의 구조와 기능
담낭은 배 우측의 간 밑부분에 위치하는 약 7~10cm 크기의 서양배 모양의 기관이다. 담낭은 간세포에서 만들어진 담즙을 농축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간세포에서 1일 600~1000mL의 담즙이 만들어지지만 담낭에는 50~75mL만 저장될 수 있다. 담낭 점막은 물과 전해질을 흡수하여 담즙을 5~10배 농축시킨다. 지방이 소장에서 소화되면 담낭수축호르몬인 콜레시스토키닌이 분비되어 담낭을 수축시키고 오디괄약근을 이완시켜 농축된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배출시킨다. 또한 미주신경 자극도 담낭 수축을 돕는다. 담즙 분비를 자극하는 또 다른 호르몬인 세크레틴도 간에서 분비된다. 따라서 담낭은 담즙의 농축, 저장, 배설을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1.3. 췌장의 구조와 기능
췌장의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췌장은 두부(head), 위의 안쪽에 있는 체부(body), 비장쪽에 있는 미부(tail)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는 약 14cm 정도이다. 췌장의 내분비 기능은 β세포에서 인슐린을, α세포에서 글루카곤과 somatostain gastrin을 분비하는 것이다. 외분비 기능은 십이지장 내의 pH를 조절하고 Na+, K+, CI-, HCO3-와 같은 전해질을 분비하는 것이다. 췌장에서 분비되는 주요 효소로는 프로테아제(단백질 분해효소), 아밀라아제(탄수화물 분해효소), 리파아제(지방 분해효소), 펩티다아제(단백질 분해효소)가 있다. Cholecystokinin(CCK)은 췌장 효소들을 비활동성의 형태로 분비되도록 자극한다.
2. 간 담도 췌장 질환
2.1. 간질환
2.1.1. 간염
간염은 간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바이러스, 약물, 알코올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A형 간염은 장바이러스 계열의 RNA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며, 분변에 오염된 식수나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전파된다. 발병 후 4~8주 동안 증상이 나타나지 않다가 식욕부진, 황달, 간비대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대부분 자연 치유되며 만성 간염이나 보균자 상태가 되지 않는다. 예방접종이 가능하다.
B형 간염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며, 우리나라 만성 간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감염은 보균자나 급성질병상태에 있는 환자의 혈청 접촉이 주요 경로이며, 타액이나 정액과 같은 체액에 의해서도 전염될 수 있다.
C형 간염은 우리나라 전 인구의 약 1%를 차지하며 증가하는 추세이다. 과거 수혈 후 감염이 많았으나 최근 수혈 혈액에 대한 검사 발달로 드물어졌으며, 약물 남용자의 주사기 공동사용에 의한 감염이 많다.
이처럼 간염은 바이러스, 약물, 알코올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과 경과, 예방법 등이 질환별로 다르다. 간염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예방과 조기 진단,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2.1.2. 간경변증
간경변증은 넓게 퍼진 섬유증과 소결절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적이고 진행성인 간질환이다. 섬유증으로 인해 혈액, 담즙, 간 대사물질 등의 흐름이 변화되고 간세포, 담세관, 혈관, 그물세포 등이 변화되면서 발생한다. 모든 간경변증의 45% 이상이 알코올과 관련이 있다. 간경변증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 괴사 후 경변증은 급성 바이러스 간염, 산업용 화학물질 중독, 감염 및 대사 장애로 인한 간세포 파괴 후에 발생한다. 둘째, 담즙성 경변증은 원발성(간관 내 담즙 정체)과 속발성(담관 폐쇄)으로 구분된다. 셋째, 울혈성 경변증은 만성 심부전증과 관련이 있다.
간경변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황달, 복수, 신경계 이상, 출혈 경향, 면역 기능 저하 등이 있다. 간경변증이 진행되면 문맥압 상승으로 인해 식도 정맥류, 위궤양, 비장비대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간기능 저하로 인한 영양 부족, 감염 위험 증가 등의 문제도 발생한다.
간경변증의 주요 원인으로는 장기적인 알코올 섭취,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담즙정체 등이 있다. 알코올성 간경변증이 전체의 45%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