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담석증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현황
2. 문헌고찰
2.1. 담낭의 구조
2.2. 담낭의 기능
2.3. 담석증 정의
2.4. 원인 및 병태 생리
2.5. 임상 양상
2.6. 진단적 검사
2.7. 치료 및 간호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현황
새로운 담낭 절제법의 발견으로 국내의 담낭 질환자의 수는 매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치료를 위하여 담낭절제술을 필요로 하는 환자 수도 증가하고 있다. 담낭절제술은 근래에는 복강경 수술이 표준 수술방법으로 시행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로봇을 이용한 단일공 담낭절제술이 새로이 시행되고 있다. 두 수술방법의 차이점은 복강경 담낭절제술(3공식)은 복부를 절개하지 않고 3개의 수술 절개창을 낸 뒤 특수 카메라가 부착된 내시경과 비디오 모니터를 이용하여 화면을 보면서 시행하는 수술을 말하며, 로봇 단일공 담낭절제술은 수술용 로봇을 이용하여 배꼽 절개창만을 통해 시행되는 담낭절제술의 방식을 의미한다. 조건이 비슷한 두 군의 대상자에게서 총 재원기간은 로봇 단일공 담낭절제술 대상자가 더 짧았으며, 총 수술실 재실시간 및 실제 마취, 수술 소요시간은 복강경 담낭절제술이 유의하게 더 짧았다. 수술관련 통증의 경우 수술 후 6시간 이후, 수술 후 첫째 날, 수술 2일 후, 수술 1주일 후의 모든 시점에서 로봇 단일공 담낭절제술의 통증이 유의하게 적었다. 수술 후 만족도는 항목별로 수술 전 설명을 들었던 예상되는 상황과의 일치 정도, 전반적인 만족, 통증 조절에 대한 만족, 수술 후 상처나 흉터에 대한 만족, 수술 후 회복 기간에 대한 만족, 수술 후 건강 상태에 대한 만족, 일상 활동 불편감에 대한 항목에서 모두 로봇 단일공 담낭절제술이 유의하게 만족도가 높았지만 수술비용 만족도에서는 복강경 담낭절제술이 만족도가 더 높았다.
2. 문헌고찰
2.1. 담낭의 구조
담낭은 간의 오른쪽 바로 아래에 위치한 작은 주머니 형태의 기관이다. 길이는 약 7~10cm이고, 폭은 2.5~3cm 정도이다. 담낭은 약 20~60mL의 담즙을 보유할 수 있으며, 최대 보유량은 100~150mL이다. 하루 동안 약 900mL의 담즙을 배출한다. 담낭은 간에서 생산된 담즙을 농축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담낭관을 통해 총담관으로 보내 십이지장으로 배출되게 한다.
2.2. 담낭의 기능
담낭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은 담관을 통해 담낭으로 이동하며, 담낭에서 농축된 담즙은 담관을 통해 총담관으로 흘러 십이지장으로 배출된다....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학 (Ⅰ,Ⅱ)7판 . 2012 - 수문사
최신기본간호학 (Ⅰ,Ⅱ). 2014 - 수문사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2008 - 현문사
여성간호학 실습 지침서. 2016 - 대구보건대 간호학과
김옥수, 강윤희 외(2021). 성인간호학(하) p985~991.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원종순, 김남초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2판. 현문사
이노우에 도모코, 사토 치후미 편집(2016). 근거 중심 질환별 간호과정Ⅰ. 메디캠퍼스
삼광의료재단, GFR, http://m.smlab.co.kr/sub/sub01_view.aspx?no=10905, 2022.5.27
서울 아산병원, 질환백과–담석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78, 2022.5.27
코로나 PCR 검사방법, https://ncv.kdca.go.kr/menu.es?mid=a30302000000, 2022.6.2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2017), 5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