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malignant neoplasm of breast"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사례로 채택하게 된 동기
2. 문헌고찰
2.1. 정의(Definition)
2.2. 원인(Etiology) 및 병태 생리(Pathophysiology)
2.3. 증상(Symptom)
2.4. 진단적 검사(Diagnostic measure)
2.5. 치료 및 간호(Treatment & nursing)
2.6. 유방암의 예후
3. 간호과정
3.1. 간호진단 우선순위
3.2. 진단1 간호과정
3.3. 진단2 간호과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유방암의 필요성 및 목적
유방암은 이미 서구의 여러 나라에서는 가장 흔한 여성암으로서 미국의 경우 전체 여성암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사망률 또한 폐암에 이어 2위의 암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최근 유방암의 발병률은 꾸준히 증가하여 2001년부터 가장 흔한 여성암이 되었다. 한국유방암학회의 조사에 따르면 유방암 발생률이 비만을 비롯한 서구화된 생활양식, 빠른 초경, 늦은 폐경, 출산율 저하, 수유 감소 등의 요인들과 함께 유방암 정기검진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앞으로도 그 수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기 때문에 유방암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간호에 필요한 기술 등을 더 많이 연구해야 할 것이다.
1.2. 사례로 채택하게 된 동기
현재 여성 질환이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 OECD 국가 중 우리나라가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유방암이 수술실 실습을 도는 동안 가장 관심이 갔던 질환이었으며, 유방암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깊이 있는 자료를 조사해보고자 사례로 채택하게 되었다.
유방암은 이미 서구의 여러 나라에서는 가장 흔한 여성암으로서 미국의 경우 전체 여성암의 약 30%를 차지할 뿐만 아니라 사망률 또한 폐암에 이어 2위의 암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최근 유방암의 발병률은 꾸준히 증가하여 2001년부터 가장 흔한 여성암이 되었다. 따라서 유방암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간호에 필요한 기술 등을 더 많이 연구해야 할 것이다.
2. 문헌고찰
2.1. 정의(Definition)
유방암이란 유방 내에만 머무르는 양성 종양과 달리 유방 밖으로 퍼져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악성 종양이다. 유방에 있는 많은 종류의 세포 중 어느 것이라도 암이 될 수 있으므로 유방암의 종류는 매우 많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유방암이 유관(젖줄)과 소엽(젖샘)에 있는 세포, 그 중에서도 유관세포에서 기원하므로 일반적으로 유방암이라 하면 유관과 소엽의 상피세포에서 기원한 암을 말한다.
2.2. 원인(Etiology) 및 병태 생리(Pathophysiology)
유방암은 분명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인 소인이나 호르몬과 관련된 요인들이 유방암의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유방암은 가족력이 있는 여성의 경우 위험이 3배 이상 증가하며, BRCA1과 BRCA2라는 유전자 변이가 원인이 되기도 한다. 선천적으로 BRCA1 유전자를 보유한 여성의 50~65%는 70세 이전에 유방암이 발생하였고, 35~46%는 난소암이 나타났다. BRCA2 유전자를 보유한 여성은 40~57%의 유방암이, 13~23%의 난소암이 70세 이전에 발생하였다. 그 밖에도 고용량 요오드 조영제에 노출, 조기 초경, 늦은 폐경, 출산경험 없음, 30세 이후 첫 출산 등도 유방암의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유방암의 가장 흔한 유형인 침윤성 유관상피내암은 암세포가 유관에서 시작되어 관을 따라 상피세포에서 성장하며, 이 과정에서 호르몬의 영향을 받는다. 암세포가 유관 내에 남아있을 때는 비...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
한국건강관리협회 www.kahp.or.kr
성인간호학 상·하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외 2명 저 <현문사>
기본간호학 I,II 강현숙, 임난영 외 14명 저 <현문사>
국가암정보센터, 접속일 2020. 06. 03/ 2020. 06. 07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17/cancer/view.do?cancer_seq=4757&menu_seq=4773#go2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접속일 2020. 06. 03/ 2020. 06. 07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4980#tagID6
서울아산병원, 접속일 2020. 06. 03/ 2020. 06. 07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72
삼성서울병원, 접속일 2020. 06. 03/ 2020. 06. 07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3a3&CONT_SRC=CMS&CONT_ID=2372&CONT_CLS_CD=001020001010
Donna D, Ignatavicius, M. Linda Workman, 성인간호학Ⅱ, 엘스비어코리아, 2009.02.23., p797
김진환,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황옥남, 성인간호학, 현문사
박은영,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서울아산병원 의학정보 (http://www.amc.seoul.kr/asan/main.do)
서울대학교병원의학정보(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55)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https://www.cancer.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