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미생물 감염
1.1. 그람양성균에 의한 감염
1.1.1. 포도상구균 감염
포도상구균은 인체의 병원성이 강해 어느 부위에서나 일어날 수 있는 화농성 세균이다. 이 균은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데, 점막질환, 폐렴, 심내막염, 뇌막염, 골수염 및 패혈증 등을 일으킨다. 특징적 소견은 포도송이 모양의 배열이며, 그람양성의 통성혐기성 균이다. 다양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어 의료현장에서 많이 주목받고 있다. 질병의 증상으로는 화농성 병변, 균혈증, 폐렴, 심내막염 등이 있으며, 이에 대한 적절한 항균제 치료가 필요하다. 포도상구균은 사람의 피부와 점막에 흔히 상재하고 있으며, 이들이 병원성을 발현하여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서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위생 관리와 철저한 병원 감염관리가 중요하다. 또한 포도상구균에 의한 감염을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환자의 예후 개선에 매우 중요하다.
1.1.2. 연쇄상구균 감염
연쇄상구균 감염은 그람양성의 통성혐기성 균인 streptococcus에 의해 발생한다. 연쇄구균에는 인간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여러 균종이 있는데, 주된 질환으로는 농가진, 연쇄구균성 인두염, 성홍열, 신생아 패혈증, 수막염, 세균성 심내막염 등이 있다. 연쇄구균은 연쇄상배열을 하는 특징이 있다. 이 균은 점막질환, 폐렴, 심내막염, 뇌막염, 골수염 및 패혈증 등 다양한 질병을 일으킨다. 특히 연쇄구균성 인두염은 주된 감염 질환 중 하나로, 급성 인두염과 편도선염을 유발한다. 또한 성홍열은 연쇄구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병으로, 발열, 발진, 인두염 등의 증상을 보인다. 신생아 패혈증은 연쇄구균에 의한 심각한 감염으로, 임신, 출산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외에도 연쇄구균은 수막염, 심내막염 등 다양한 부위에서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연쇄구균 감염은 매우 다양한 임상 증상을 나타내며, 그 심각성이 높은 감염증이라고 할 수 있다.
1.2. 임균과 수막구균
1.2.1. 임균
임균(Neisseria gonorrhoeae)은 임질의 원인균으로, 1970~1980년대에 세계적인 전염병으로 알려져 있다. 이 균은 사람에게만 감염되며, 문란한 성생활에 의해 비뇨생식기에 감염된다. 또한 결막, 직장 및 인후점막 등에 침입하여 급성 화농증을 일으키고 각종 조직에 침범하여 만성 염증을 유발한다. 임균의 경우 요도, 성기 분비물의 다핵백혈구 속에 탐식된 균이 메틸렌블루 단염색을 통해 잘 관찰된다.
1.2.2. 수막구균
수막구균은 수막염의 원인균으로 집단 발생할 가능성이 많아 크게 관심을 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폐렴구균, 혈호균과 함께 중요한 수막염의 원인균이다. 수막구균은 사람 사이에서만 자연 감염하며 유행성 수막염을 일으킨다. 주로 10세 이하의 소아에서 많이 발생하고 환자나 보균자에게 비말전염에 의해 상기도 전염을 통해 감염된다. 수막구균 감염은 세균에 의한 중증 질환으로 빠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균혈증이나 뇌수막염을 일으키며 사망률이 높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수막구균 감염은 예방접종과 조기 진단,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1.3. 장관출혈성 대장균
장관출혈성 대장균(Enterohemorrhagic E. coli, EHEC)은 혈청형 O157:H7 균주에 의해 발병하며, 환자는 혈액이 많이 섞인 설사를 한다. O-157균은 일반 대장균이 생물학적 변이를 일으킨 것으로 1~9일의 잠복기를 거쳐 베로톡신(verotoxin)이라는 독소를 분비하여 장출혈 설사, 복통 등 식중독 증상을 일으킨다. 병원성 대장균 O-157:H7이나 O-26의 O나 H는 대장균을 분류하기 위해 만든 기호이다. 대장균은 몸체와 꼬리로 이뤄지는데 O-157:H7에서 O는 대장균의 몸체를, H는 꼬리를 지칭한다. 주O는 대장균의 몸통 표면에 있는 단백질 항원을 말하며, H는 대장균 섬모의 단백질 항원을 말한다. 숫자는 그 대장균이 발견된 순서를 의미한다. 따라서 O-157:H7은 O타입의 항원 중 157번째 H타입 항원 중 7번째로 발견된 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장관출혈성 대장균 감염은 오염된 식품이나 물을 통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 고기, 야채 등의 섭취나 오염된 물과의 접촉이 원인이 된다. 이 균은 매우 낮은 감염용량으로도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어 사회적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