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연구자들이 인가의 뇌에서 특장기능을 담당하는 부위를 찾아내려고 노력했던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인지심리학 연구자들의 뇌 연구 노력의 배경
2.1. 기능적 국소화 이론
2.2. 인지심리학과 뇌
2.3. 현대 신경과학과 뇌 영상 기술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지심리학 연구자들이 인간의 뇌에서 특정 기능을 담당하는 부위를 찾아내려고 노력했던 이유는 인간의 인지 기능을 깊이 이해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심리적, 신경적 문제를 해결하여 손에 잡히거나 눈으로 보이지 않는 존재는 사람의 마음에 대한 불안을 줄여주고, 오지 않은 미래를 미리 두려워하지 않게 해주며 또한 인공지능과 같은 기술의 발전에 보탬이 되어주며 뇌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함으로써, 인간의 정신 기능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고 응용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을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는 것은 언제나 불안을 동반하고 불안은 공포를 가지고 온다. 최근 치매에 대한 두려움은 상상을 초월하며 두려움을 파고든 다양한 보험 상품이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뇌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게 된다면, 치매 환자 등 다양한 인지 장애 및 이상을 도울 수 있는 길이 보이게 될 것이다.
2. 인지심리학 연구자들의 뇌 연구 노력의 배경
2.1. 기능적 국소화 이론
19세기 독일의 신경학자 프란츠 요제프 갈(Franz Joseph Gall)은 해부를 통해 두개골의 모양을 보면 개인의 성격과 능력을 알 수 있다는 골상학(phrenology) 이론을 제시하였고, 이는 인지심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능적 국소화 이론(Functional Localization Theory)인 뇌의 특정 부위가 특정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는 개념을 전파하는 훌륭한 계기가 되었다. 기능적 국소화 이론은 브로카와 베르니케의 연구를 통해 증명되었는데, 19세기 중반 프랑스의 신경학자 폴 브로카(Paul Broca)는 말을 이해하지만 말을 할 수 없는 환자를 만났고 좌측 전두엽의 하부가 손상됐음을 알게 되었...
참고 자료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0
존 폴 민다, 『인지심리학 : 생각하고 기억하고 결정하는, 우리 뇌와 마음의 작동 방식』, 웅진지식하우스, 2023
정혜선. 『인지심리학 입문: 마음과 생각의 과학』, 사회평론아카데미, 2024
송창호. 『인물로 보는 해부학의 역사』, 정석출판사, 2015
이정모, 김민식. 『인지심리학』, 학지사, 2009
로버트 J. 스턴버그, 『인지심리학』, 박학사, 2016
기타하라 요시노리, 『그림으로 이해하는 인지과학; 인간은 정보를 어떻게 이해하고 처리하는가?』, 길벗, 2022
강명희, 김미영, 김민정, 박효진, 구진아, 「학습자의 사전지식, 인지부하, 몰입,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규명」 교과교육연구 13권 2호,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배자현, 「학령기 아동의 우울, 인지왜곡, 기능적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22권 제2호, 대한작업치료학회, 2014
배니치, 마리T,. 『인지 신경과학과 신경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9
이주영, 「인간 뇌세포 상세지도 나왔다…영장류와 뇌세포 차이도 규명
」, 연합뉴스, 2023, 10.13, www.yna.co.kr/view/AKR20231013052400017?input=1195m
김효은 『인지과학 실험실심리학, 철학, 신경과학으로 보는 마음의 과학』, 휴머니스트, 2021
김경일. 『적정한 삶 불안한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건네는 인지심리학의 위로와 통찰
』, 진성북스, 2021
휴넷평생교육원. 인간행동의 심리학적 이해. 15-23.
한영자, 생활예절, 교육아카데미, 2003
한국여성교양학회, 생활예절, 신정, 2003
나선숙, 첫인상의 힘, 큰나무,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