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직장암 간호진단 / 장루 관리 / Rectal Cancer Case study / A 고퀄리티 성인간호 실습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직장암의 정의와 중요성
1.2. 직장암의 발병 원인
1.3. 직장암의 증상과 진단 방법
2. 직장암의 치료
2.1. 내시경을 통한 국소 절제
2.2. 외과적 수술
2.3. 항암 화학요법
2.4. 방사선 치료
3. 직장암의 경과 및 합병증
3.1. 직장암의 병기
3.2. 직장암의 예후
3.3. 직장암의 합병증
4. 직장암 환자의 간호
4.1. 수술 전 간호
4.2. 수술 후 간호
4.3. 장루 간호
4.4. 기타 간호 중재
5. 사례 연구
5.1. 환자 정보
5.2. 신체 사정 및 검사 결과
5.3. 간호 과정
6. 결론
6.1. 연구 요약
6.2. 직장암 관리를 위한 제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직장암의 정의와 중요성
직장암의 정의와 중요성
직장암이란 직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악성 종양이다. 대장은 결장과 직장으로 구성되며, 그 중 직장은 결장과 항문을 연결하는 부위이다. 직장은 다른 대장 부위와 달리 구불구불하지 않고 반듯한 모양이라는 특징이 있다.
직장암은 우리나라에서 암 발생의 5.4%를 차지하는 주요한 건강 문제이다. 연령대별로는 70대와 6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남성에게 더 많이 나타난다. 전 세계적으로도 대장직장암이 주요한 건강 문제 중 하나이며, 특히 미국에서는 가장 흔한 악성 암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직장암은 우리나라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암 질환 중 하나이다.
1.2. 직장암의 발병 원인
50세 이상의 연령은 직장암 발병의 가장 큰 위험 요인이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직장암 발병률이 높아지며, 특히 60~70세 사이에 발병 빈도가 가장 높다.
선종성 용종은 직장암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전구 병변이다. 직장에 생긴 선종성 용종이 크기가 크거나 고등급 이형성증을 보일수록, 융모 구조를 가지고 있을수록 암으로 진행될 위험성이 더 높다. 선종성 용종은 50세 이상 성인의 약 30%에서 발견된다.
염증성 장 질환은 직장암 발병 위험을 4~20배 증가시킨다.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 등 염증성 장 질환이 있는 경우 일반인에 비해 직장암이 20~30년 더 빨리 발병할 수 있다.
유전적 요인도 직장암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가족성 용종증과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은 직계 가족의 직장암 발병 위험을 2~4배 증가시킨다. 대장암 가족력이 있거나 대장 선종을 가진 경우에도 직장암 발생 위험도가 높아진다.
동물성 지방의 과도한 섭취는 직장암 발생을 촉진한다. 포화지방 함량이 높은 붉은색 육류를 많이 섭취하면 담즙산과 2차 담즙산 등의 발암물질이 증가하여 직장 점막 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다. 반면 섬유질, 칼슘, 비타민D가 풍부한 식단은 직장암 예방에 도움이 된다.
신체 활동 부족은 직장암 발병 위험을 높인다. 규칙적인 신체 활동은 장 운동을 활성화하여 발암물질의 접촉 시간을 줄이고 대사를 개선함으로써 직장암 예방에 기여한다.
비만도가 높을수록 직장암 발생 위험이 커지는데, 이는 비만이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호르몬 균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과도한 음주 역시 직장암 발병률을 높인다.
골반 부위에 방사선 조사를 받은 경우 10년 후 직장암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 직장암의 증상과 진단 방법
초기 직장암의 경우에는 아무런 증상도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암이 자라면서 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혈변과 변이 가늘어지는 증상이 흔하게 나타난다. 식욕부진과 체중감소를 동반할 수도 있다. 대변보는 습관의 변화로 변을 참기가 힘들거나 변을 본 다음에도 다시 보고 싶어지는 후증도 동반될 수 있고, 암이 진행하게 되면 통증도 생긴다. 암이 진행하는 경우 직장 주변의 방광, 여성의 경우 질, 주변 신경으로 전이되어 아랫배의 통증이나 질 출혈도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증상만으로는 치질 등의 다른 질환과 구별이 안 되므로 전문의와 상담하고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한다.
직장암의 확진은 내시경 검사를 통한 조직검사를 통해 암세포를 발견해야 가능하다. 진단에 도움이 되는 검사로는 직장 수지검사, 대변검사, 대장 조영술, CT 또는 MRI 검사, 혈액검사 등이 있다.
직장 수지 검사는 검사자가 항문을 통해 손가락을 삽입하여 직장 부위 종양을 진단하는 것으로, 이 부위에 발생하는 종양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전문의가 검사할 때에는 직장암의 75%를 발견할 수 있다.
대변검사(잠혈 반응검사)는 대변의 혈액성분을 확인하는 것으로, 간단하고 경제적인 검사법이지만 정확성이 떨어지므로 검사에서 양성인 경우 정확한 진단을 위해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한다. 음식물(고기, 익히지 않은 과일과 야채) 및 약제(비타민 C, 아스피린) 섭취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암의 전 단계인 선종성 용종이 있어도 10~50%정도 밖에 진단하지 못한다.
이중바륨 대장 조영술은 항문을 통해 작은 튜브를 삽입하고 바륨 조영제를 넣고 대장 내부를 공기로 확장시킨 다음, 대장 속의 대장 점막에 이상이 있는지 검사하는 방법이다. 전체 대장을 안전하게 검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정확한 검사를 위해 하제를 이용하여 장을 비워야 하고 방사선 노출 위험이 있으며, 대장 내시경 검사에 비해 용종에 대한 예민도가 낮아 작은 용종이나 암을 발견하지 못할 수 있다.
에스 결장경 내시경의 일종으로 대장 내시경보다는 길이가 짧아, 항문으로부터 약 60cm 내외 거리에 있는 하행결장까지 관찰할 수 있으므로 직장암을 진단할 수 있다.
대장 내시경은 항문을 통하여 내시경을 삽입하여 대장 전체를 관찰하는 검사로, 대장 질환을 가장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전날 저녁식사는 죽 등으로 가볍게 하고 하제를 복용하여 대장 내에 남아있는 변을 제거해야 하며, 통증을 줄이기 위해 수면유도제를 사용할 경우 약물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암 등으로 대장이 막혀 있으면 검사를 진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CT 대장조영술은 컴퓨터 기술과 영상의 발전으로 새로운 검사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 하제를 이용해 장을 비워야 하며, 검사는 항문에 튜브를 삽입하고 공기나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장을 부풀려서 CT 촬영하여 영상을 얻고 컴퓨터로 3차원영상을 재구성하여 대장 내부를 관찰한다.
기타 검사로는 암태아성항원(CEA) 검사, 복부 CT, MRI, 초음파 검사 등이 있다. CEA는 종양 표지자로 대장암의 수술 전 병기 판정이나 암 치료의 효과, 암의 재발 확인에 보조적으로 사용된다. 복부 CT, MRI, 초음파 검사는 대장암의 진행 및 전이 여부...
참고 자료
이항련, 김영숙 외 3명 저 | 성인간호학2 | 수문사 | 2010
서울 삼성병원 암센터 (대장암과 장루 관리)
한양대학교 소화기센터 (장루 및 장루관리)
국가 암정보센터 (암환자 생활관리, 장루)
세브란스 병원 염증성 장질환 클리닉
한국장루장애인협회 korea ostomy association (관리와 생활)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송영신 외, 「EBN 기본 간호학 Ⅰ」, 수문사, 2018.
송영신 외, 「EBN 기본 간호학 Ⅱ」, 수문사, 2018.
윤은자 외, 「성인 간호학 Ⅰ」, 수문사, 2021.
윤은자 외, 「성인 간호학 Ⅱ」, 수문사, 2021.
MEG GULANICK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외 옮김, 현문사, 2019.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약학정보원
드러그인포
삼성서울병원
http://www.snuh.org/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원
http://www.ncc.re.kr/ 국립암센터
성인간호학Ⅰ. 김금순 외. 수문사. 2023. 461p~462p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김조자 외. 현문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