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특수아 통합교육 배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통합교육의 배경과 주요 원리
1.1. 통합교육의 배경
1.1.1. 장애개념의 변화
1.1.2. 정상화 이념의 확산
1.1.3. 권리의식의 성장
1.2. 통합교육의 주요 원리
1.2.1. 다양성에 기반한 원리
1.2.2. 협력에 기반한 원리
1.2.3. 인권과 권리에 기반한 원리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통합교육의 배경과 주요 원리
1.1. 통합교육의 배경
1.1.1. 장애개념의 변화
장애개념의 변화는 통합교육의 배경이 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과거에는 장애를 치료와 재활의 대상으로 보았으나, 1960-70년대를 거치면서 장애에 대한 관점이 개인적 관점에서 사회적 관점으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장애인 당사자의 자기결정권과 자립생활을 강조하는 운동으로 이어졌고, 학교 현장에서는 통합교육 운동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서구 사회에서는 1970년대 이전까지 장애를 의학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를 치료와 재활의 대상으로 여겼다. 장애의 원인을 개인에게 두고, 장애인 스스로가 자신의 장애를 극복해야 한다는 이념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1960-70년대에 접어들면서 미국의 흑인 민권운동, 장애인 자립생활운동, 유럽의 정상화 이념 확산 등을 통해 장애에 대한 관점이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장애를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장애개념의 변화는 자립생활운동으로 이어졌고, 학교 현장에서는 통합교육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예를 들어, 1975년 미국에서는 전장애아교육법을 제정하여 장애학생의 '최소 제한된 환경'에서의 교육을 명문화하였다. 이는 장애학생을 가능한 한 일반학급에 배치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분리 교육을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는 통합교육의 핵심적인 배경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1.2. 정상화 이념의 확산
정상화 이념은 1960년대 스칸디나비아 지역을 중심으로 장애인의 비정상적 생활환경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하였다. 1970년대를 거치면서 정상화 이념은 세계 각지에서 조금씩 다른 이름으로 장애인에 대한 정부정책에 강력한 영향을 미쳐왔다. 영국에서는 장애인의 일상적인 생활을 강조하는 '보통의 생활(ordinary life)', '사람들이 가치를 인정받으면서 살도록 하기(valuing people)' 등...
참고 자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김진환(2010). 통합교육: 교사를 위한 특수교육입문. 학지사.
진선주 외(2009). 아하!통합학급. 공동체.
김동일 외(2010). 특수교육학 개론. 학지사.
김윤옥 외(2005). 특수아동 교육의 실제.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