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모유수유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모유수유와 신체적 장점
1.1. 영양학적 이점
1.2. 면역학적 이점
1.3. 기타 신체적 이점
2. 모유수유의 기전
2.1. 유방의 구조와 발달
2.2. 유즙 생성 및 분비
2.3. 젖 분비 조절 호르몬
3. 모유수유의 심리적, 정서적 이점
4. 모유수유 실천을 위한 간호중재
4.1. 유방 관리
4.2. 유두 및 유방 문제 관리
4.3. 직장복귀 산모를 위한 지원
5. 모유수유 관련 연구
5.1. 연구의 필요성
5.2. 연구대상 및 방법
5.3. 연구결과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모유수유와 신체적 장점
1.1. 영양학적 이점
모유수유는 영아에게 우수한 영양학적 이점을 제공한다. 첫째, 모유의 단백질, 철분, 칼슘이 우유보다 인체에 더 잘 흡수된다. 둘째, 모유의 지방은 소화가 더 잘되고 lactose의 함량도 모유가 더 높다. 셋째, 모유는 시기적으로 성분이 변화되어 아기의 발달 순서에 맞게 분비된다. 초기모유에는 lactose와 단백질 함량이 많지만, 후기모유에는 지방과 카제인의 함량이 더 많다. 넷째, 초유에는 항체가 많이 있어 아기를 보호하고, 대변완화 기능이 있어 태변을 더 잘 배설하게 해준다. 다섯째, 모유수유 아기는 설사나 감기에 저항력이 높다. 이는 모유에 IgA와 lactoferrin이 있어 위장관내 세균성장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여섯째, 모유는 오염될 가능성이 적고 다루는 과정이 없어 위생적이다. 일곱째, 인슐린의존형 당뇨병 산모에게는 모유수유를 통해 항당뇨병 효과가 있다. 따라서 모유수유는 영아의 영양학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다양한 생리학적 이점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1.2. 면역학적 이점
모유에는 면역학적 이점이 있다. 모유에는 immunoglobulin A(IgA)가 풍부하게 존재하여 아기의 위장관 내에서 세균의 성장을 억제한다. IgA는 단백질 흡수를 막아 알레르기 발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모유에는 lactoferrin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물질은 유해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철분을 결합하여 공급함으로써 면역력을 높여준다. 따라서 모유수유 아기는 설사나 감기에 걸릴 위험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유수유 기간이 길수록 이러한 면역학적 이점이 더 크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1.3. 기타 신체적 이점
모유수유는 산모와 아기에게 다양한 신체적 이점을 제공한다.
모유수유 아기는 인공수유아에 비해 설사나 감기에 저항성이 높아 감염 위험이 낮다"". 이는 모유 속에 포함되어 있는 IgA와 lactoferrin이 위장관 내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또한 모유에는 알레르기 반응을 예방하는 성분들이 있어 알레르기 발생 위험이 낮아진다"". 실제로 모유수유를 6개월 이상 지속하면 알레르기 발생이 크게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모유수유 산모의 경우 분만 후 자궁 수축과 산후 출혈 위험이 낮아지며, 산후 우울증 발생률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유수유 시 발생하는 옥시토신의 분비가 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수유 중 소모되는 에너지로 인해 임신 중 증가한 체중이 빠르게 줄어들어 산모의 체중 감량에도 도움이 된다"".
마지막으로 모유수유는 치과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모유수유 아기의 경우 치열 발달이 더 바람직하게 이루어져 교정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적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2. 모유수유의 기전
2.1. 유방의 구조와 발달
유방은 여성의 신체 일부로 유선(mammary gland)과 유관조직(ductile system), 이를 둘러싼 간질조직(섬유 및 지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유방에는 약 15~20개의 지방, 결합...
참고 자료
하영수 외(2018) 여성모성간호학 Ⅱ 서울: 신광출판사 615~621p
김혜원 외(2018) 여성건강간호학 Ⅱ 서울: 현문사 550~560p
김계숙 외(2015). 여성건강간호와 비판적 사고. 파주: 군자출판사.
김계숙 외(2018). 여성건강간호와 비판적 사고 2. 파주: 군자출판사.
김혜원 외(2018). 여성건강간호학 I, II. 서울: 현문사.
박영주 외(2017). 여성건강간호학 I, II. 서울: 현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18). 여성건강간호학 I, II. 파주: 수문사.
유은광 외(2017). 여성건강간호학 I, II. 파주: 수문사
하영수 외(2018). 여성모성간호학, 서울: 신광출판사
한영인(2015). 핵심간호 시뮬레이션 적용. 파주: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Ⅱ 제5판, 현문사, 2020, p.384~388, p.390~395
B. Ha and S. Kim, “산후 1, 6개월 완전모유수유율과 영향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8, no. 5, pp. 230–240, May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