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간호사정
1.1. 자료수집 방법
2차 자료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활용 자료는 통계청, 성남시 보건소 사이트, 수원시 보건소 사이트 등이다.
1.2. 지역사회 영역
1.2.1. 지역사회 특성
오마하 완주군은 전라북도의 중앙에 위치하여 전주시를 둘러싸고 있다. 동서양단 거리 36Km, 남북 양단거리는 71Km이며, 동은 진안군, 서는 김제시, 남은 임실군과 정읍시, 북은 익산시와 충남의 논산시, 금산군에 각각 인접해 있다. 지형 및 지세는 고덕산과 모악산이 둘러져 있으며, 서북방은 전북평야와 연결되어 있고 소양천, 고산천, 삼천천은 모두가 서북을 관류하는 만경강에 이르고 있다. 도로는 전주를 중심으로 군산, 서울, 부산, 대구, 목포, 광주, 여수에 통하는 국도와 지방도가 있고, 철도는 전라선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상관면은 전주에서 10분 거리의 도시 근교에 위치하고 경관이 수려하며 자연 그대로의 청정지역이다. 전주~남원 국도 17호선과 전라선 철도가 지역 중앙에 위치하여 교통이 편리하며 국도 대체 우회도로가 개설되어 김제방면으로 바로 갈 수 있다. 또한 익산~장수 간 고속도로, 완주~순천 간 고속도로 완공으로 교통이 편리하다. 상관면의 동쪽은 진안군 성수면과 임실군 관촌면, 남쪽은 임실군, 관촌면, 북쪽은 소양면과 전주시에 닿아 있다. 상관면의 지형 및 지세는 전체면적의 86%가 산으로 농경지가 부족한 지역이다.
1.2.2. 인구학적 특성
성남시와 수원시는 경기도에 위치해 있는 도시로, 2020년 기준 성남시의 총인구는 940,064명, 수원시의 총인구는 1,186,078명이다. 2020년 성남시의 성비는 98.1로 수원시의 101.4보다 낮아 인구 구성에 성차가 있다. 성남시 인구의 연령별 분포를 살펴보면, 45-49세 연령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남녀 간에도 이 연령대의 인구가 가장 많다. 성남시와 수원시 모두 고령인구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나 성남시의 고령인구 비율이 수원시보다 높다. 2020년 성남시의 고령인구 비율은 14.2%인 반면, 수원시는 11.1%이다. 한편, 성남시와 수원시 모두 독거노인 가구와 1인 가구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2020년 기준 성남시의 독거노인 가구 비율은 6.4%, 1인 가구 비율은 31.2%이다. 이와 같이 성남시와 수원시는 인구 구조의 변화와 고령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1.2.3. 환경적 특성
완주군은 고덕산과 모악산이 둘러싸고 있는 지형과 지세를 가지고 있다. 서북방은 전북평야와 연결되어 있으며, 소양천, 고산천, 삼천천이 서북으로 흐르는 만경강으로 유입된다. 도로는 전주를 중심으로 주요 도시와 연결되는 국도와 지방도가 있으며, 철도로는 전라선이 지나가고 있어 교통이 편리한 편이다.
상관면은 전체 면적의 86%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어 농경지가 부족한 지역이다. 수익성이 높은 조경수, 표고 재배, 토종꿀과 한우 등의 농산물과 콩, 고추, 매실나무, 두릅 등을 주로 생산한다. 상관면의 교통은 전주시내버스와 농어촌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완주군의 주택 현황을 살펴보면, 2019년 기준 단독주택이 115,754호, 아파트가 178,415호로 나타났다. 2017년 343,940호에서 2019년 339,863호로 주택 수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반면 수원시는 2017년 449,187호에서 2019년 461,215호로 주택 수가 증가하고 있다.
완주군의 사업체 수는 2017년 64,188개에서 2019년 66,333개로 증가한 반면, 종사자 수는 2017년 448,808명에서 2019년 467,627명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수원시는 사업체 수는 2017년 71,898개에서 2019년 74,015개로 증가하였지만, 종사자 수는 2017년 423,649명에서 2019년 438,591명으로 감소하였다.
완주군의 생활계 폐기물 배출량은 2017년 873.8톤, 2018년 918.4톤, 2019년 851.4톤으로 나타났다. 매립은 감소하고 소각과 재활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수원시의 생활계 폐기물 배출량은 2017년 1,143.6톤, 2018년 1,134.5톤, 2019년 1,019.8톤으로 완주군에 비해 많은 편이다.
대기오염도의 경우, 성남시와 수원시 모두 2018년과 2019년 기준 환경기준을 만족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돗물 수질검사 결과에서도 성남시와 수원시 모두 먹는물 수질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1.2.4. 건강수준
성남시와 수원시는 경기도 내 주요 도시로, 두 지역의 주요 건강지표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감염성 질환 측면에서는 성남시가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다. 2019년 기준 성남시의 제1군 감염병 발생 건수는 342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