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루게릭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2. 루게릭병의 정의 및 특성
1.3. 선행연구 검토
2. 본론
2.1. 루게릭병의 병태생리
2.2. 증상 및 진행 과정
2.3. 진단 및 검사
2.4. 치료 및 관리
2.4.1. 약물 치료
2.4.2. 운동요법
2.4.3. 간호중재
2.5. 대상자 및 가족의 간호요구
3. 결론 및 제언
3.1. 연구 결과 요약
3.2. 루게릭병 환자 간호에 대한 제언
3.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루게릭병의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루게릭병, 또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은 운동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치명적인 퇴행성 질환이다. 원인이 명확하지 않고 치료법도 없는 루게릭병은 대부분의 환자에게 불과 2~5년 내에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이다. 그러나 최근 이 질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루게릭병은 발병률이 낮지만 전 세계적으로 약 10만 명의 환자가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1,300명 정도의 환자가 투병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질환은 근력 약화와 근위축을 동반하여 언어장애, 연하곤란, 호흡부전 등의 증상을 유발하므로, 환자는 점진적으로 신체적 기능이 저하되어 타인의 도움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질병의 진행에 따라 삶의 질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루게릭병의 병태생리와 증상, 진단과 치료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간호 중재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루게릭병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이들에 대한 사회적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질병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루게릭병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 환자 간호에 필요한 정보와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1.2. 루게릭병의 정의 및 특성
루게릭병(Lou Gehrig's Disease)으로 알려진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은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퇴행성질환이다. 이 질환은 운동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치명적인 질환으로, 원인을 알 수 없고 치료방법도 없으며 표준화된 진행양상도 없다. 또한 예방법도 없다. 루게릭병은 일반적으로 50대 후반부터 발병이 증가하며, 남성에게 1.4~2.5배 더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 질병 발생 후 2~5년 안에 사망에 이르게 된다.
1.3. 선행연구 검토
루게릭병에 대한 다양한 선행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허현숙과 최스미(2013)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환자의 삶의 질이 전반적으로 저하되어 있으며, 특히 신체적 영역과 정신적 영역에서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송창호와 김현정(2010)은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개체발생학적 병적 자발이동, 폐활량, 손기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보이타 치료법이 근육의 기능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환자의 운동요법 및 재활치료에 보이타 치료법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상호 외(2013)는 보바스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보바스 치료법이 비정상적인 근육 긴장도와 협응 운동 결핍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환자의 운동 기능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환자의 재활치료에도 보바스 치료법을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송은영과 송보경(2010)은 보바스 접근법에 의한 자세조절 증진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보바스 치료법이 환자의 자세 조절과 보행 능력 개선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환자의 보행 기능 향상을 위해 보바스 치료법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선행연구 결과들은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환자의 재활 및 간호중재 방안 모색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보이타 치료법과 보바스 치료법이 환자의 운동 기능과 자세 조절, 보행 능력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토대로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포괄적인 간호중재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2. 본론
2.1. 루게릭병의 병태생리
루게릭병은 대뇌피질의 상부운동신경원과 뇌간 및 척수의 하위운동신경세포에서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질환이다. 상부운동신경원이 침범되면 강직과 깊은 심부건반사 항진이 나타나고, 하위운동신경원이 침범되면 근이완, 마비, 위축을 초래한다. 하지만 감각, 시각, 청각, 안구운동은 영향을 받지 않으며 장과 방관 기능도 침범...
참고 자료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p.497~498
루게릭병이란?, 한양대구리병원 난치성세포치료센터
https://www.hyumc.com/hyctc/als/info.do?action=view&bbsId=ALSdiseases&nttSeq=10861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523
한양대학교병원 신경과 교수 김승현 (2012), 루게릭병을 이기는 사람들
https://www.sihope.or.kr/pdf/clinic.pdf
김명희 외(2015), 성인간호학 = Medical-surgical nursing. 2 ,수문사, 서울, p495~496, ALS 간호
강미정 외(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 p94~96 p233~242, 폐렴 신경계 질환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2판, 현문사, 서울, p2~355, 간호과정 내용
송경애 외 (2018) 기본간호학2, 수문사, 서울, p325, 불안완호 간호
ALS treatment, https://alstreatment.com/als-pneumonia-risk/, ALS 간호
삼성서울병원 암센터,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diseaseSub03View.do?content_id=1052&DP_CODE=CIC&MENU_ID=004027015 , 기관절개술 관리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qkdwognsdl27/222087590608 , 체위배액요법 흉부물리요법
병원간호사회, http://khna.or.kr/homecare/chronic/chronic_02c.php , 바른 기침법
삼성서울병원 약제부,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PH&MENU_ID=004018014, 네블라이저 사용방법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3664787 , 루게릭병 의사소통방법(그림판)
승일희망재단, 한양대학교 루게릭병클리닉, 루게릭병을 이기는 사람 ppt, 루게릭병 의사소통방법(대화그림,그림판 사용법)
허현숙(Heo,Hyun Sook), 최스미(Choi-Kwon,Smi),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환자의 삶의 질 ," 재활간호학회지 vol.16 no.2 (2013): 122-132.
송창호, 김현정,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의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폐활량, 손기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9 no.1 (2010): 89-111.
이상호 외, "보바스 치료가 뇌졸중 환자에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vol.11 no.1 (2013): 1-6.
송은영, 송보경, "보바스 접근법에 의한 자세조절 증진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증례 보고-," 대한신경치료학회 14 no.1 (2010): 45-55.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서울: 현문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