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전화통신의 발전 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전화 통신의 발전 과정
2.1. 전신의 발명
2.2. 유선 전화기의 발명
2.3. 무선 전신의 발명
2.4. 무선 통신의 발전
2.5. 다중 전신의 발명과 디지털 통신의 대두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통신은 0차원에서 1차원으로, 1차원에서 2차원으로 발전해왔다. 기존에 편지나 말을 전달해주는 사람을 보내 사람에게 뜻을 전달했던 0차원적 통신에서, 모스 부호 혹은 말로서 그 뜻을 전달하는 1차원적인 통신으로, 그리고 현재는 얼굴을 마주 보며 할 수 있는 화상통화, 즉 2차원 통신까지 발전이 이루어졌다. 현재 이 통신은 결국, MR 기기와 연계되어, 3차원적인 공간의 제약이 없어지고, 사람이 사람을 어디에서나 만날 수 있는 세상이 도래하고 있다. 그리고 어쩌면 1차원에서 2차원으로 변화한 시간, 2차원에서 3차원으로 변화한 시간만큼의 시간이 지난다면, 4차원적인 시간의 제약이 없어진 통신의 시대가 도래할지도 모른다. 다른 면에서 이 전화 통신이 중요한 이유는 컴퓨터 통신의 근원이 되었기 때문이다. 컴퓨터 통신은 전화 통신에 기반해서 발전하였고, 전화 통신과 컴퓨터 통신은 모두 디지털 혹은 아날로그 신호로서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한 면이 존재한다. 결국 우리가 0차원적인 통신, 1차원적인 통신, 2차원적인 통신으로 통신의 갈래를 여러 갈래로 나누어 놓긴 하였지만, 그 근원은 0과 1로 이루어진 무수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시대에 따라서 보낼 수 있는 0과 1의 양이 점점 늘어났기에 0차원적인 통신에서부터 시작하여 2차원적인 통신에 도달할 수 있었다. 그렇기에 우리는 오늘날 정보의 바다라고 불리며, 이 정보의 바다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인 컴퓨터 통신을 공부하기 위하여 그와 비슷한 혹은 컴퓨터 통신을 탄생시킨 전화 통신의 발전 과정을 공부할 필요가 존재한다.
2. 전화 통신의 발전 과정
2.1. 전신의 발명
1809년 von Smmerring은 용액에 전기가 통과하면 거품이 생기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그는 전신기를 개발하였고 3km의 전달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경제적 실용성이 없어 세상에 나오지 못하였다. 이후 1820년 외르스테드와 앙페르가 전자기 법칙을 발견하였고, 1835년 Joseph Henry가 전신기를 발명하였다. ...
참고 자료
통신기술의 발달과 표준화의 역사, (https://www.tta.or.kr/fileDB/PDF/b-1.pdf)
임경순, 「통신방식의 역사」,
(http://zolaist.org/wiki/images/7/7d/%ED%86%B5%EC%8B%A0_%EB%B0%A9%EC%8B%9D%EC%9D%98_%EC%97%AD%EC%82%AC.pdf)
Telecom History Timeline, 『Telecommunications history group』,
(https://www.telcomhistory.org/resources/telecom-history-timeline/)
유충호, 「정보통신의 발전과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민사법적 연구」 , 『청암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