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판매시설 안전관리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용자가 입력한 주제에 대한 개요
1.2.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의 개념과 목적
2.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의 현황
2.1. 사업 유형별 내용 및 특징
2.1.1. 공익활동
2.1.2. 자원봉사활동
2.1.3. 사회서비스형
2.1.4. 시장형사업단
2.1.5. 취업알선형
2.1.6. 고령자친화기업
2.1.7. 시니어인턴십
3.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의 문제점
3.1.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3.2. 신체적 제약으로 인한 일자리 부족
3.3. 지원금의 부족
4.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의 개선방안
4.1. 제도적 측면
4.2. 운영 측면
5. 결론
5.1. 연구 내용 요약
5.2. 정책적 시사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용자가 입력한 주제에 대한 개요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은 노인들의 건강한 노후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공익활동, 재능 나눔, 일자리 등 다양한 사회활동을 지원하여 노인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공익활동, 자원봉사활동, 사회서비스형, 시장형사업단, 취업알선형, 고령자친화기업, 시니어인턴십 등 다양한 사업유형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 사업에는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신체적 제약으로 인한 일자리 부족, 지원금의 부족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어르신들이 할 수 있는 일자리를 늘리고, 운영 측면에서 어르신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유지를 위한 복지 지원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은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증가와 고령화로 인해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노인들의 건강한 노후를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의 개념과 목적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의 개념과 목적은 다음과 같다.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의 대상으로는 모든 노인이 해당된다. 공공형의 경우 노노케어(취약노인 안부확인), 취약계층지원, 보육시설 봉사 등 공익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노인이 자기만족과 성취감 향상 및 지역사회 공익증진을 위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봉사활동이다.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수급자가 참여할 수 있다. 사회서비스형은 만 65세 이상 사업 참여 가능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가정 및 세대간 서비스, 공공전문서비스(공공행정업무지원), 취약계층 전문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노인의 경력과 활동역량을 활용하여 사회적 도움이 필요한 영역(안전관련, 지역사회 돌봄 등)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부 유형의 경우 만 60세 이상 사업참여 가능하다. 시장형 사업단, 취업알선형, 시니어인턴십, 고령자친화기업 등 시장형의 경우 만 60세 이상 사업 참여 가능자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이처럼 노인을 대상으로 공익활동, 취업 및 창업활동, 자원봉사 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재편되어 선택과 집중을 통해 효율성을 제고시키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표는 민간영역에서 노인의 취업과 창업활동을 집중으로 지원하고, 공공영역에서는 노인의 공익활동 지원을 확대하고자 하는 것으로, 노인이 활기차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공익활동, 재능 나눔, 일자리 등 다양한 사회활동을 지원하여 노인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와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서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2.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의 현황
2.1. 사업 유형별 내용 및 특징
2.1.1. 공익활동
노노케어는 취약노인 생활지원 활동이다. 취약계층 지원의 경우 소외계층을 지원하는 활동으로 장애인 봉사, 다문화가정 봉사, 청소년 선도 봉사, 한부모가족 봉사, 생활시설 이용자 지원 봉사 등이 있다. 공공시설 봉사의 경우 지역사회 공익서비스 제공 활동으로 학교급식 지원 봉사, CCTV 상시관제, 스쿨존 교통지원 봉사, 보육시설 봉사, 도서관 봉사, 지역아동센터 봉사, 공원·놀이터 등 공공시설 봉사, 문화재시설 봉사, 공공의료 및 복지시설 봉사, 지역사회 환경개선 봉사, 주정차 질서 계도 봉사, 지역사회안전망 구축 지원 등이 있다. 경륜전수활동의 경우 노인의 경험 및 지식 나눔 활동으로 건강·체조·취미생활 지도, 문화공연 활동, 체험 활동 지원, 경륜 전수 활동 등을 한다. 지역상생 활동의 경우 지역사회 내 자원 연계를 통해 참여 노인에 대한 추가적인 소득지원이 가능한 활동으로 지역상생 활동작업장, 지역재생환경 활동 등이 있다. 이러한 공익활동은 평균 11개월 동안 활동하며, 활동 시간은 월 30시간, 일 3시간 이내이고, 활동비로 월 27만원을 제공한다.
2.1.2. 자원봉사활동
자원봉사활동은 지역사회 봉사활동, 재능나눔 활동, 특성화 활동 등을 포함한다. 지역사회봉사활동은 주거 및 환경보호, 생활편의지원, 안전지도 활동을 하며, 재능나눔 활동은 상담 및 안내, 교육지도, 문화예술, 보건의료 등 다양한 영역에서 수행된다. 특성화 활동은 위탁기관별 특성에 따른 특화된 활동이다. 이러한 자원봉사활동의 활동기간은 8개월이며 ...
참고 자료
김정목 외, 『식품위생학』, 창지사, 2022.
김지응 외, 『식품위생학』. 백산출판사, 2022.
고정은 외, 지역사회간호학1, 현문사, 2019년, p.88 ,그림1-7 (광역시형 보건소 조직)
국가법령정보센터(지역보건법, 지역보건법 시행령)
http://www.law.go.kr/%EB%B2%95%EB%A0%B9/%EC%A7%80%EC%97%AD%EB%B3%B4%EA%B1%B4%EB%B2%95/(14895,20170919)
http://www.law.go.kr/%EB%B2%95%EB%A0%B9/%EC%A7%80%EC%97%AD%EB%B3%B4%EA%B1%B4%EB%B2%95%EC%8B%9C%ED%96%89%EB%A0%B9
유성구청(유성구청>보건소>보건소 소개>조직구성)
http://www.yuseong.go.kr/?page_id=13019
보건복지부 홈페이지(http://www.mohw.go.kr/react/index.jsp)
행정안전부 홈페이지(https://www.mois.go.kr/frt/a01/frtMain.do)
한국건강증진개발원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
지역사회간호 1 (현문사) 2019. 1. 15 발행
대전광역시 유성구 보건소 (http://www.yuseong.go.kr/?page_id=10469)
대전시 서구 보건소
(https://www.seogu.go.kr/sorg/content.do?mnucd=SGMENU0800004)
서울특별시 강남구 보건소
(http://health.gangnam.go.kr/content/367/view.do?mid=5-367&lang=ko)
경상북도 청송군 보건의료원
(http://www.cs.go.kr/countyOffice/health/00004154.web)
대전광역시청
(https://www.daejeon.go.kr/drh/DrhContentsHtmlView.do?menuSeq=1644)
경기도 수원시 보건소 (https://health.suwon.go.kr/sub.asp?page_code=sub01010201)
국가법령정보센터<지역보건법
http://www.law.go.kr/LSW/lsSc.do?tabMenuId=tab18§ion=&eventGubun=060101&query=%EC%A7%80%EC%97%AD%EB%B3%B4%EA%B1%B4%EB%B2%95#undefined
국가법령정보센터<지역보건시행령
http://www.law.go.kr/LSW/lsSc.do?tabMenuId=tab18§ion=&eventGubun=060101&query=%EC%A7%80%EC%97%AD%EB%B3%B4%EA%B1%B4%EB%B2%95#undefined
국가법령정보센터<지역보건법시행규칙
http://www.law.go.kr/LSW/lsSc.do?tabMenuId=tab18§ion=&eventGubun=060101&query=%EC%A7%80%EC%97%AD%EB%B3%B4%EA%B1%B4%EB%B2%95#AJAX
고정은외 (2019), 지역사회간호학Ⅰ, 현문사, 20 ~ 28p
고정은 외(2019). 지역사회간호학Ⅰ, 현문사, 47-50 page.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LSW/lsSc.do?tabMenuId=tab18§ion=&eventGubun=060101&query=%EA%B5%AD%EB%AF%BC%EA%B1%B4%EA%B0%95%EC%A6%9D%EC%A7%84%EB%B2%95#undefined
http://www.law.go.kr/lsSc.do?tabMenuId=tab18§ion=&eventGubun=060101&query=%EC%A7%80%EC%97%AD%EB%B3%B4%EA%B1%B4%EB%B2%95#liBgcolor0
대전광역시청
https://www.daejeon.go.kr/drh/acm/drhAcmBoardView.do?acmCode=78&esbFieGbn=&menuSeq=6414&pageIndex=1&searchCondition=all&searchKeyword=%EB%B3%B4%EA%B1%B4%EC%9D%98%EB%A3%8C
유성구보건소 https://www.yuseong.go.kr/?p=493577
한국건강증진개발원
https://www.khealth.or.kr/board?menuId=MENU01117
제 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6-2020) 383~398p
권중돈, 사회복지학개론, 학지사, 2019.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보건복지부.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류기적, 사회복지학개론, 공동체, 2022.
유범상,김종해,여유진(2019). 사회복지학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원석조, 사회복지개론, 양서원, 2021.
조흥식 외 6명, 사회복지학개론, 창지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