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웬의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을 인용하여 나의 부모님이 확대가족에서의 경험을 나에게 투사한 것이 무엇인지 기술하고 그 결과 내 안에 어떤 불안이 형성되었는지, 나의감정반사반응은 무엇인지 기술하시오. 그리고 나와 삼각관게를 이루고 있는 가족은 누구인지 탈삼각화를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기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 개요
1.2. 가족문제에 대한 새로운 관점제시
2. 본론
2.1.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을 통한 가족 분석
2.1.1. 부모님의 확대가족 경험 투사
2.1.2. 가족 투사과정과 자기분화 개념
2.2. 불안과 감정반사반응의 형성
2.2.1. 불안의 형성과 전이
2.2.2. 감정반사반응의 발현
2.3. 가족 내 삼각관계와 탈삼각화
2.3.1. 삼각관계의 특성과 역기능
2.3.2. 탈삼각화를 위한 노력
3. 결론
3.1. 보웬 모델의 가족치료 접근방식 요약
3.2. 가족문제 해결을 위한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 개요
보웬이 창시한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은 기존의 치료방식이 개인의 병리적 증상에만 집중했다면, 이 모델은 내담자의 가족과 그 윗세대의 가족까지 파악하여 내담자의 불안과 문제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를 이해하고 가족 관계의 역학을 분석하며 가족의 정서 체계를 변화시킴으로써 내담자의 분화를 촉진하고 역기능적 삼각관계에서 탈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모델의 핵심적인 개념들은 자기분화, 삼각관계, 가족 투사과정, 세대 간 전수과정, 핵가족 정서 체계, 정서단절, 형제 순위, 사회적 정서 과정 등이며, 기존 이론과 달리 내담자를 포괄적으로 접근하고 정서적 측면에 주목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를 통해 문제의 근원을 다각도로 파악하고 가족 체계 전반에 걸친 변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1.2. 가족문제에 대한 새로운 관점제시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은 기존 이론과 달리 가족 문제를 보다 포괄적이고 확장된 관점에서 접근한다. 이 모델은 개인의 증상이나 진단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을 둘러싼 가족 구성원들의 관계 역학을 파악하여 불안의 근본적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가족 내에서의 투사 과정과 세대 간 전이 현상을 중요하게 다룬다. 보웬은 개인의 정신적 문제가 부모나 조부모 등 과거 세대에서 비롯된 불안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불안은 무의식적으로 자녀에게 전이되어 자신도 모르게 유사한 행동 패턴을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보웬 모델은 개인의 자기 분화 수준에 주목한다. 자기 분화란 개인이 원가족과 정서적으로 독립하여 자율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분화 수준이 낮은 경우 타인의 감정에 좌우되기 쉽고, 감정 반사 반응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보웬의 모델은 개인의 증상을 가족 체계 내에서 이해하고자 하며, 가족 관계의 역동성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기존 이론과 차별화된다고 할 수 있다.
2. 본론
2.1.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을 통한 가족 분석
2.1.1. 부모님의 확대가족 경험 투사
나의 할아버지는 매우 가부장적인 성격이었기 때문에 아버지는 유년 시절 손에 물 한 방울 묻히지 않고 자랐다. 할머니와 고모가 집안일의 대부분을 도맡아서 했기 때문이다. 특히 아버지는 장남이었기에 할아버지는 아버지에게 무거운 것도 들지 않도록 막으셨다. 아버지는 다른 친구들의 가족 모습을 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행동이 문제라는 것, 가족 내 차별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했고 결혼 후에도 이러한 행동을 하게 되었다.
나의 어머니는 외할아버지와 외할머니 밑에서 유일한 딸로 자라났다. 외할아버지는 어머니가 주방에 들어오거나 일을 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셨고 직접 요리를 하셨다. 이에 어머니는 집안일을 전혀 경험하지 않고 자랐다. 이후 결혼 후 아버지와 생활하면서 양측 부모의 영...
참고 자료
곽라은,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양성원, 2017.
박태영 외, 여성 가정폭력 행위자 가족상담 사례 연구 : Bowen 가족치료모델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9.
양희숙, 삼각관계와 가족희생양의 통합적 가족치료 모델에 대한 연구, 한세대학교, 2011.
정보영, 한국 가정의 맏이문제와 치유에 관한 연구 : 보웬의 가족치료이론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0.
2012학년도 석사학위 논문"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과 Life-script의 비교" 한세대학교 대학원 상담학 전공이영하
이상호, (2015).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의 기독교 상담학적 고찰,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cd0658166a864923ffe0bdc3ef48d419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노안영, 학지사, 2018.03.15.)
김영평생교육원 강의교안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2022)
가족치료의 이해 (정문자, 정혜정 외, 학지사, 2018.02.05.)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김혜숙, 학지사, 2016.03.15.)
보웬의 가족치료이론 (M. kerr, M Bowen, 학지사, 2005.03.05.)
보웬 이론의 8가지 개념 (Robert.M. Gilbert, 학지사, 2018.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