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편마비 피부손상위험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 론
1.1. 편마비 피부손상위험성 정의
1.2. 편마비의 병태생리
1.3. 편마비 피부손상위험성의 중요성
2. 본 론
2.1. 피부손상의 원인과 위험요인
2.2. 피부손상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2.3. 피부손상 예방 교육의 필요성
3. 결 론
3.1. 편마비 환자의 피부손상 예방
3.2. 편마비 환자 간호의 실제적 적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 론
1.1. 편마비 피부손상위험성 정의
편마비는 뇌졸중 등의 뇌손상으로 인해 신체 한쪽의 근력이 약화되거나 마비되는 것이다. 편마비 환자는 움직임이 제한되어 지속적으로 한 자세로 누워있게 되는데, 이로 인해 피부에 지속적인 압박이 가해져 욕창과 같은 피부손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 특히 뼈 돌출 부위인 천골, 미골, 발꿈치 등에 압력이 집중되어 피부 손상이 쉽게 발생한다. 또한 편마비로 인한 감각 저하로 피부 자극을 느끼지 못해 손상이 악화되기도 한다. 따라서 편마비 환자의 피부손상 위험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1.2. 편마비의 병태생리
뇌세포는 산소와 당을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지속적인 혈류공급으로 뇌세포에 필요한 영양을 공급하고 CO2와 젖산과 같은 대사산물을 제거한다. 뇌의 혈류량은 정상적으로 분당 1,000cc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한다. 혈류량이 감소하게 되면 산소공급이 줄어들지만, 자동조절기능에 의해 뇌세포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혈류량이 감소되면 혐기성 대사가 증가하고 전기적인 활동에 장애가 일어나 뇌파, 유발전위 등의 이상소견이 관찰된다. 뇌혈류가 적정 수준 이하로 감소하면 비가역적 뇌손상을 초래하고 뇌신경세포는 괴사에 빠지게 된다. 즉 뇌의 저산소증, 무산소증, 저혈당증은 허혈부위의 신경세포와 신경아교세포 및 조직을 경색·괴사시킨다.
1.3. 편마비 피부손상위험성의 중요성
편마비 환자의 경우 편측 사지의 운동 및 감각 기능 저하로 인해 피부 손상의 위험이 매우 높다. 특히 뼈 돌출 부위에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져 욕창이 발생하기 쉽다.
편마비로 인한 부동은 혈액순환을 감소시켜 국부적 조직 허혈을 초래하고, 피부 관류와 영양 공급이 저하된다. 또한 대변이나 소변 실금으로 인한 피부 습윤은 피부 손상을 유발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피부 소성감 등 통증과 가려움증이 동반되어 환자가 스스로 피부를 긁어 손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특히 고령의 편마비 환자는 피부 탄력성 저하, 체액 균형 및 면역 기능 감소로 인해 피부 손상 위험이 매우 높다. 이는 환자의 일상생활과 삶의...
참고 자료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 하권 제7판. 현문사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2판. 현문사
양선희 외(2020). 기본간호학Ⅰ 제4판. 현문사
양선희 외(2020). 기본간호학Ⅱ 제4판. 현문사
김명자 외. 『기본간호학』. 현문사
전시자 외 (2014).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김조자 외 (2014).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경기: 수문사
박명화 외 (2017). 『노인간호학』. 정담미디어
김미라, 「뇌졸중이 있는 연하장애 환자의 영양상태와 식행동」,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영양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13.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질병관리본부,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http://www.druginfo.co.kr 드러그인포
성인간호학1, 김금순, 김영숙, 최경옥, 수문사
성인간호학2, 김금순, 김영숙, 최경옥, 수문사
네이버 의학정보
http://www.snuh.org/ 서울대학교 병원
최신 간호진단, 홍영혜, 성미혜, 정향미, 수문사
건강사정, 임경춘 외, 정담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