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크론병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크론병의 정의와 특징
2.2. 크론병의 병태생리
2.3. 크론병의 원인
2.4. 크론병의 증상
2.5. 크론병의 진단
2.6. 크론병의 합병증
2.7. 크론병의 치료
2.7.1. 약물 치료
2.7.2. 영양 요법
2.7.3. 외과적 치료
2.8. 크론병 환자의 간호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크론병은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관의 어느 부위에서나 나타날 수 있는 만성적으로 재발되는 원인 불명의 염증성 질환이다. 크론병은 1932년 Crohn에 의해 처음 보고된 질환으로, 비지속적인 병변과 만성 염증이 구강부터 항문까지 위장관 전체에 영향을 미쳐 복통, 설사, 체중감소와 피로의 증상을 동반한다. 크론병의 정확한 발병 원인과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환경적 요인의 복합적인 작용이 크론병의 발병과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크론병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크론병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필요한 상황이다.
2. 본론
2.1. 크론병의 정의와 특징
크론병은 입에서부터 항문에 이르기까지 소화관의 어느 부위에도 나타날 수 있는 만성적으로 재발되는 원인 불명의 염증성 질환이다. 크론병은 궤양성 대장염과 달리 염증이 장의 모든 층을 침범하며, 병적인 변화가 분포하는 양상이 연속적이지 않고 드문드문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대장과 소장이 연결되는 부위인 회맹부에 질환이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며 그 다음으로 대장, 회장 말단부, 소장 등에서 자주 발생한다. 병변이 회장과 맹장에 같이 나타나는 경우가 40~60%로 가장 흔하고, 소장에만 염증이 생기는 경우가 30%, 대장에만 발병하는 경우가 10~25%를 차지한다. 크론병은 비지속적인 병변과 만성 염증이 구강부터 항문까지 위장관 전체에 영향을 미쳐 복통, 설사, 체중감소와 피로의 증상을 동반한다. []
2.2. 크론병의 병태생리
크론병은 1932년 Crohn에 의해 국지적 회장염(regional ileitis)으로 처음 보고되었다. 크론병은 위장관 전체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만성적인 염증 상태이다. 크론병은 비지속적인 병변과 만성 염증이 구강부터 항문까지 위장관 전체에 영향을 미쳐 복통, 설사, 체중감소와 피로의 증상을 동반한다. 가장 흔한크론병의 사례는 젊은 환자가 하복부 통증을 호소하며 만성적인 설사와 체중감소, 피로, 식욕부진의 증상을 동반하는 것이다.
크론병의 발생은 두번의 빈발 연령대가 존재하는데 주로 20-30세 사이와 50세 전후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크론병의 정확한 발병 원인과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환경적 요인의 복합적인 작용이 크론병의 발병과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장관 내의 만성 염증이 크론병 발병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2.3. 크론병의 원인
크론병의 원인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의 복합적인 작용이 크론병의 발병과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장관 내의 만성 염증이 크론병 발병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크론병의 정확한 병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
참고 자료
김정애 외 1명, 「진단적 검사와 간호」, 수문사, 2011, P87
차영남 외 13명.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2013, P69, P66
예병덕 외 5명, 『크론병 진단 가이드라인』, 대한소화기학회, 2009, P165~P171
박재준 외 9명, 『크론병 치료 가이드라인 개정판』 대한소화기학회, 2017, P32, P41
이은옥 외 6명,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3. 15. P11
은영 외 7명, 『근거기반 임상간호실무지침』, 병원간호사회, 2018. P47~56
김희량 외2명, 『내·외과 간호사의 근거기반 통증사정 및 관리 가이드라인 수행도』,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6.10, P556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 검사정보, https://health.amc.seoul.kr/health/personal/checkInformation.do?checkno=520 (검색일자 : 2019.4.26.)
임경춘 외.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2021. p590-600
김도형, 강원경, 박승만, 이상철, 오승택, 김승남. "충수에 국한된 크론병 1예." 대한대장항문학회지. 20.4 (2004): 236-239.
조기성, 조진웅, 정금모, 이영재, 김지웅, 조명진, 강지훈, 오미나. "체중감소로 발현한 충수에 국한된 크론병 1예."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37.6 (2008): 443-446.
유양숙, 이은주, 조옥희. "크론병 환자의 삶의 경험." 한국간호과학회. 43.3 (2013): 409-419.
박재준, 양석균, 예병덕, 김정욱, 박동일, 윤혁, 임종필, 이강문, 윤상남, 이희영. "크론병 치료 가이드라인 개정판." 대한소화기학회지 69.1 (2017): 29-59.
조옥희, 유양숙, 양석균. “크론병 환자의 우울과 위험요인.” 대한간호과학회지. 42.2 (2012): 207-215.
김경원 기자, “[헬스로그 명의] 크론병 10년차, 1~2년마다 대장내시경 검사를”, 헬스로그, 2023. 01.30. https://www.koreahealthlog.com/news/articleView.html?idxno=40436
이예지. "한국 성인 크론병 환자의 식품기반 염증평가지표와 크론병 질병심각성의 연관성 규명을 위한 예비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22. 서울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 (2019.02). 수문사
이은희 외.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2021.07). 고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