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태권도장 경영에 있어 공개심사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에 대하여 논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태권도와 한국 문화의 세계화
1.2. 태권도 승급심사 제도의 필요성
1.3. 태권도 승급심사 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2. 태권도 승급심사 제도의 현황
2.1. 태권도 승급심사 제도의 의미와 구조
2.2. 태권도 승급심사 제도의 운영 현황
2.3. 태권도 승급심사 제도의 주요 문제점
3. 태권도 승급심사 제도의 개선 방안
3.1. 심사 내용과 절차의 표준화
3.2. 심사의 공정성과 투명성 제고
3.3. 심사 결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3.4. 태권도 지도자의 역량 강화
3.5. 승급심사 제도와 태권도 문화의 조화
4. 결론
4.1. 요약 및 결론
4.2. 태권도 세계화를 위한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태권도와 한국 문화의 세계화
태권도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무술로서 오늘날 세계적인 스포츠로 발전해왔다. 태권도는 단순한 무술 훈련을 넘어 한국 고유의 전통과 정신을 담고 있어 한국 문화의 중요한 일부를 차지한다. 최근 K-pop, K-드라마 등 한류 콘텐츠의 전세계적 인기와 더불어 태권도 또한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태권도 도장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을 배울 수 있는 주요한 접점이 되고 있으며, 각국의 한국문화원과 태권도 중앙 도장인 국기원이 협력하여 태권도 보급에 힘써왔다. 미국과 중국에서는 각각 300만 명, 120만 명 이상이 태권도를 즐기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럽 지역에서도 한류와 함께 태권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태권도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태권도 수련자의 수준을 평가하는 승급심사 제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태권도가 한국의 대표 국기로서 위상을 더욱 굳건히 하기 위해서는 태권도 수련생의 현황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승급심사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한국 문화의 세계화 과정에서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1.2. 태권도 승급심사 제도의 필요성
태권도는 수련을 통해 체력을 키우고 예절을 배우는 하나의 철학적 활동이다. 태권도에서 승급심사는 수련자들이 더 상위로 나아가기 위해서 실시되는 중요한 제도이다. 태권도 수련자들은 승급심사를 통해 자기 성취감과 자기 수련의 척도를 가늠할 수 있다. 승급심사를 통해 수련자들은 수련 목표와 성취 정도를 스스로 알 수 있고, 사범들도 수련생의 성취 수준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련자들은 수련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 더 향상될 수 있고, 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태권도 승급심사 제도는 수련자들의 동기 부여와 태권도 발전을 위해 필요불가결한 제도이다.
1.3. 태권도 승급심사 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태권도 수련자들은 태권도장과 태권도협회, 국기원 등에서 이루어지는 승급심사를 통해 자신의 단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승급심사 제도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 승품단 심사비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심사비가 비공개적으로 결정되고 있어 수련자들은 심사비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어디에 사용되는지 알 수 없다. 일부 지역에서는 태권도협회가 무단으로 심사비를 인상한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이로 인해 수련자들은 심사비에 대한 신뢰를 잃게 되었다.
둘째, 태권도장 간 차별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서울시 태권도협회는 학교나 스포츠센터에서 운영되는 태권도장의 가입을 막아 승급심사를 받지 못하게 했다. 이는 특정 태권도장에 유리한 조치로 볼 수 있으며, 공정성과 형평성이 결여된 처사이다.
셋째, 태권도 승단심사 과정의 비리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일부 태권도협회 관계자들이 승단심사 과정에서 부정행위를 저지른 사실이 밝혀졌다. 이로 인해 승단심사의 공정성과 투명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태권도 승급심사 제도의 문제점들은 수련자들의 불만을 초래하고 태권도 종목 전반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심사비 공개, 태권도장 간 차별 해소, 승단심사 비리 근절 등 다각도의 개선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태권도 승급심사 제도의 현황
2.1. 태권도 승급심사 제도의 의미와 구조
태권도는 수련자의 기술 동작, 습득 과정, 수련 정도에 따라 일정한 계급으로 구분한다. 태권도를 수련한 사람은 태권도 정신 및 기술 수련 경지 등에 대한 심사를 통해 등급을 부여받을 수 있으며, 그 위계는 품(1~4품), 단(1단~9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규 심사는 크게 승급 심사, 승품 심사, 승단 심사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승급 심사는 각 도장 및 체육관 수련 단위에서 자체적으로 치러지는 심사이고, 5단까지의 저단(低段) 심사는 각 시도 태권도 협회에서 실시한다. 6단 이상의 고단(高段) 심사는 국기원에서 직접 진행한다.
태권도 수련자를 대상으로 승급 심사를 실시할 때는 태권도장에서 태권도 사범이 시행한다. 승품 심사는 만 15세 미만의 수련자를 대상으로 하며, 4품까지만 만 18세 미만의 수련자를 대상으로 한다.
1~3품의 자격을 보유한 만 15세 이상의 수련자는 품의 자격을 단으로 전환 신청할 수 있고, 4품의 자격을 보유한 만 18세 이상 수련자는 단으로 자격을 전환할 수 있다. 승단 심사는 만 15세 이상의 수련자를 대상으로 시행한다.
태권도 심사의 목적은 수련자의 자기 성취감과 자기 수련의 척도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하고, 수련 목표의 적절한 성취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수련생이 수련 목표와 성취 정도를 스스로 알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수련자의 행동이 숙달되었는지를 인식시키고, 계획했던 목표에 도달했을 때 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끼게 한다.
2.2. 태권도 승급심사 제도...
...
참고 자료
김형호. "태권도 수련활동이 수련생의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광주
민흥기. "태권도장 승급심사의 현황과 발전방향."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6. 서울
태권도장 보내는 학부모 ‘당신도 당했다?’…승품단 심사비 피해자 14만명, KBS 뉴스, 2019.03.18.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4160350
이재연, “학교 태권도장 다니면 승급심사 못 받게” 가입 막은 서울태권도협회 적발, 한겨레, 2021.06.21.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000201.html
이지혜, '태권도 선발전 비리' 협회 관계자들 줄줄이 재판에, 노컷뉴스, 2016.04.18. https://m.nocutnews.co.kr/news/4580932
「휴·폐업 느는 태권도장… 흔들리는 종주국 위상」, 김산, 김지원, 경인일보, 2023.09.03., http://m.kyeongin.com/view.php?key=20230903010000119
「[TV조선 단독] 이상한 태권도 승급심사…'일년 내내 같은 품새」, 김도형, TV조선 뉴스, 2014.12.24., 'https://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4/12/24/20141224902
80.html
「스포츠센터 태권도장 인기끌자…협회 등록 막은 서울시태권도協」, 한광범, 이데일리, 2021.06.21.,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555126629084016&media
CodeNo=257&OutLnkChk=Y
「승품·단 심사」, 국기원, https://www.kukkiwon.or.kr/base/contents/view?contentsNo=
40&menuLevel=2&menuNo=56
「국기원」, 태권도 진흥 및 태권도공원 조성 등에 관한 법률, 제19조, 2023.08.08., 시행
「태권도심사규칙」, 국기원, 2022.04.12. 개정, 20쪽, https://tkdcon.net/portalk/promt/
jdgmn/selectLowDanDetail.do?selectMenuCode=PTK050100
「한국 태권도 심사제도 변천의 역사적 고찰」, 류호평, 원광대학교, 2001
「저출산에 따른 태권도장 경영의 문제점 및 대처방안」, 남승우. 무예연구 제2권 제1호, 2008
「태권도장 유소년 수련층의 퇴관이유에 관한 참여관찰 분석」, 유동현, 최천, 윤정욱,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3권 제3호, 2014
「태권도의 심사비용 구조 및 쟁점 분석」, 서진교, 한국체육학회지 vol 41, no.5, 2002
「태권도장의 유소년 수련층 증가로 인한 심사제도의 문제점 고찰」, 유동현, 정태성, 국기원 태권도연구, 제8권 제4호, 2017
「태권도장 승급심사의 현황과 발전방향」, 민홍기, 한국체육대학교, 2016
「태권도 심사의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귀납적 논의」, 김서경, 가천대학교, 2017
「겨루기」, 태권도 용어정보사전, 이경영, 태권도문화연구소, 2011
「태권도 기술체계」,대한태권도협회, https://www.koreataekwondo.co.kr/d004
「‘도장마다 다 달라요’…베일에 싸인 태권도 승급심사비 달라질까」, 김종형, 2018.06.15., 국민일보,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444413
「체조 선수 눈속임도 잡아내는 AI 심판」, 김지한, 중앙일보, 2019.04.03.,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430084#home
「심판의 날」, 정상혁, 조선일보, 2024.04.23., https://www.chosun.com/opinion/espresso/2024/04/23/MAT2OTUG6FBK7MGNECMQAKVMBI/?utm_source=naver&utm_
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편파판정 베이징 올림픽 논란 가속...‘AI 심판’ 도입이 해결책」, 나호정, AI 타임스, 2022.
02.09.,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2956
김수성. "태권도장 승급심사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8. 서울
민흥기. "태권도장 승급심사의 현황과 발전방향."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6. 서울
컨슈머포스트, 세계 주요국 태권도 인구 TOP5, 2017.2.6. Available from: https://www.consumer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0729 [Accessed 21st May 2024]
동아일보, 프랑스가 태권 전사 양성에 나선 까닭은?, 2020.9.24. Available from :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00924/103079999/1 [Accessed 21st May 2024]
KBS뉴스, 태권도장 보내는 학부모 ‘당신도 당했다?’…승품단 심사비 피해자 14만명, 2019.3.18.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4160350 [Accessed 21st May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