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P c/s 간호진단

  • 1
  • 2
  • 3
  • 4
  • 5
  • 6
  • 7
  • 8
>

상세정보

소개글

"FTP c/s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case 선정이유
1.2. 연구기간 및 방법
1.3. 문헌고찰

2. 본론(간호과정)
2.1. 간호사정(자료수집)
2.2. 임상검사 및 진단검사
2.3. 투약
2.4. 간호진단 목록
2.5. 간호과정

3. 결론
3.1. 결론 및 느낀점
3.2. 실습 후 소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case 선정이유

제왕절개 분만을 우선 케이스 주제로 틀을 잡았었다. 제왕절개는 자연분만과는 확연히 다르게 수술로써 외과적인 절개와 침습적인 도구 사용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일어날 수 있는 합병증의 범위가 더 넓고 치료와 간호가 필요한 부분이 또한 넓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진행되어 어쩌면 더 복잡할 수 있는 분만에 대한 과정 및 결과와 간호를 연구해 보고 싶었기에 '제왕절개'를 케이스로 잡고자 하였다.


1.2. 연구기간 및 방법

5월 8일 ~ 5월 19일 /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전자의무기록) 확인, 인터뷰 및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제왕절개분만(caesarean section delivery)은 산부의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외과적 술법으로 제왕절개술이라고도 한다. 'Cesarean'이란 용어는 라틴어 caedere에서 유래되었으며 영어의 '자르다(cut)'의 의미가 담겨있다. 제왕절개분만의 일차적 목표는 생명을 보존하고 산부와 태아의 안녕을 도모하는 것이다. 제왕절개로 태어나는 신생아는 매년 꾸준히 늘어 전체 신생아의 절반을 훌쩍 넘어섰다. 늦은 결혼으로 인한 산모의 고령화가 가장 큰 원인이지만 전자 태아 감시 장치 사용의 보편화, 불확실성이 강한 자연분만에 대한 두려움 등이 제왕절개 비율을 끌어올리는 요인이다.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분만율은 1960년대 4% 정도였으나 2004년도에 38.1%, 18일 통계청에 따르면 출생아 대비 제왕절개 비율은 2017년 45%, 2018년 47%, 2019년 51%, 2020년 54%, 2021년 58.7%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최근 9년 간 26.9%에서 58.7%로 2배 이상 늘어났다. 제왕절개 비율이 절반 이상을 훌쩍 넘어선 것은 저출산 흐름이 장기화된 가운데 만혼으로 인한 고위험 고령 산모(만 35세 이상)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실제 국내 제왕절개 분만 건수가 2012년 46만 9000여 건에서 2021년 24만 9000여 건으로 최근 9년 간 약 88% 급감하는 사이 제왕절개 분만율은 26.9%에서 58.7%로 2배 이상 증가했다.


1.3. 문헌고찰

제왕절개분만(caesarean section delivery)은 산부의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외과적 술법이다. 'Cesarean'이란 용어는 라틴어 caedere에서 유래되었으며 영어의 '자르다(cut)'의 의미가 담겨있다. 제왕절개분만의 일차적 목표는 생명을 보존하고 산부와 태아의 안녕을 도모하는 것이다.

제왕절개로 태어나는 신생아는 매년 꾸준히 늘어 전체 신생아의 절반을 훌쩍 넘어섰다. 늦은 결혼으로 인한 산모의 고령화가 가장 큰 원인이지만 전자 태아 감시 장치 사용의 보편화, 불확실성이 강한 자연분만에 대한 두려움 등이 제왕절개 비율을 끌어올리는 요인이다.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분만율은 1960년대 4% 정도였으나 2004년도에 38.1%, 2018년 47%, 2019년 51%, 2020년 54%, 2021년 58.7%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제왕절개 비율이 절반 이상을 훌쩍 넘어선 것은 저출산 흐름이 장기화된 가운데 만혼으로 인한 고위험 고령 산모(만 35세 이상)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산부와 태아의 안녕이 위협받을 때와 이러한 위협이 분만지연으로 인해 고조될 때, 질분만이 산부나 태아에게 위험이 있을 때 태아를 신속히 만출시킬 수 있다. 제왕절개분만의 주요 적응증으로는 아두골반 불균형(CPD), 태위이상, 자궁기능부전, 과거 제왕절개분만, 과거 난산, 유도분만의 실패, 생식기 감염, 임신합병증 등이 있다. 제왕절개술은 복강을 가르는 수술이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하며, 질식분만에 비해 모성사망률이 2~4배 높고 이환율이 증가한다. 주요 합병증으로는 출혈, 마취 부작용, 골반 또는 복부장기 상해, 감염 등이 있다. 제왕절개술에는 자궁하부절개와 고전적 절개의 두 가지 유형이 있으며, 자궁하부절개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제왕절개분만 시 사전 준비와 수술 중, 수술 후 간호가 중요하다. 수술 전 산부에게 충분한 정보와 지지를 제공하고, 피부 준비, 도뇨관 삽입, 수술 절차 및 마취, 수술 후 합병증 예방 교육...


참고 자료

T. Heather Herdman 외 2인(2022).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21-2023. 학지사메디컬. 206, 308, 414, 499
김민주(2011). 시장의 흐름이 보이는 경제 법칙 101. 위즈덤하우스 (인간의 가장 본능적인 욕구는 무엇일까?-매슬로우의 인간 욕구 5단계 이론). 182~185
김양호 외 편저(2021). 병리학 제6판. 현문사. 37-45
박영주 외5인(2021).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22-24, 332-339
성미혜 외 10인(2016).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JMK.
양선희 외(2020).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288-306 (진단검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20).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462-471
이은희 외(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55-204
최명애 외(2018). 임상약리학 제8판. 현문사.
김상희(2003). 손마사지가 자궁절제술 환자의 불안, 수면만족도와 통증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김주영(2020). 유도분만에서 제왕절개로 전환된 초산모의 분만경험 질적연구. 질적연구학회. 질적연구. 제21권 제1호. 18-23
정진주(2008). 제왕절개분만경험 여성이 인식한 제왕절개증가 원인 및 바람직한 출산환경. 대한여성건강학회. 여성건강. 제9권 제1호.
백영미 기자. “신생아 10명 중 6명꼴 제왕절개…확 늘어난 이유 '이것'.” 뉴시스. 2023.04.18.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418_0002270476&cID=10201&pID=10200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접속일: 2024.05.15.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종합검진-‘건강진단에서 시행하는 혈액검사종목 소개’. https://www.kslm.org/. 접속일: 2024.05.16.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의료정보-‘의약품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접속일: 2024.05.15.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의료정보-‘방사선 촬영(X-ray)’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524 접속일: 2024.05.15.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접속일: 2024.05.15. (약물 사진 출처)
최연순,여성건강간호학,2020,462p-471p
황옥남,성인간호학 상권,2017,190
송경애 외 공저,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2021, p.385-394, 411-437, 463-474
윤은자 외 공저(2021). 성인간호학Ⅱ(9판 개정). 수문사. p.1164-1180, 1188-1193
이동숙 외 공저, 「사례중심의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메디컬에듀케이션, 2021, p.263-373
견갑골 골절[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23.01.05. https://www.kses.or.kr/general/detail.php?inc=2
의약품검색[약학정보원]. 2023.01.10.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
의약품정보[서울아산병원]. 2023.01.10.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질환백과[서울아산병원]. 2023.01.04.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92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24
N 의학정보-급성경막하출혈[서울대학교병원]. 2023.01.04.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37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