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여성간호학 케이스: 자궁경부상피내암 CIN, 간호진단, 통증 및 체액불균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방법 및 범위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자궁경부상피내종양 (CIN) 정의
2.1.2. 자궁경부암의 발생과정
2.1.3. 원인 및 위험 요인
2.1.4. 증상과 진단
2.1.5. 치료 및 간호중재
2.2. 간호사정
2.2.1.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2.2.2. 주 호소 및 건강력
2.2.3. 신체검진
2.2.4. 임상검사 결과
2.3. 간호과정
2.3.1. 간호진단 도출
2.3.2. 간호계획 수립
2.3.3. 간호중재 및 평가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간호학적 의의 및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여성들에게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인 자궁경부암은 최근 젊은 층에서도 발병하고 있다. 이 질병은 가족력이 없더라도 호발하며,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 진단하면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자궁경부상피내종양(CIN)이라는 질병의 정의, 발생 과정, 원인 및 위험 요인, 증상과 진단, 치료 및 간호중재 등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CIN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1.2. 연구 방법 및 범위
이 사례연구는 2017년 1월 16일부터 21일까지 OO병원에 수술을 위해 입원 중인 40세 성○○님을 대상으로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에 대한 문헌고찰과 함께 그 기초 지식에 근거하여 수술 전·후간호를 중심으로 대상자를 관찰하고 환자 및 보호자, 의료진으로부터 얻은 정보, EMR, Cardex, 간호기록지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뒤 그에 대한 간호진단 및 계획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병동실습 과정에서 수집한 사례를 토대로 자궁경부상피내종양(CIN)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간호과정을 고찰하여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자궁경부상피내종양 3기(CIN3)로 진단받고 수술을 받은 40세 성○○님이며, 입원 기간 동안 관찰 및 면담, 의무기록 검토를 통해 간호과정을 진행하였다. 간호 문제 도출, 중재 계획 및 평가까지의 전 과정을 포함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자궁경부상피내종양 (CIN) 정의
자궁경부상피내종양(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은 자궁경부 이형성증이라고도 하며, 침윤성 자궁경부암의 전구질환이다. 정상조직과 암조직의 중간단계로서 세포가 비정상적이며 종양으로 진행할 위험이 있는 상태이다. 현재는 암으로 분류되지 않으나, 향후 암으로 발전할 수도 있는 병변이다. 호발연령은 20~30대이고 최근 10대의 발견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정상 편평상피가 이형성 세포로 변이된 정도에 따라 CIN Ⅰ, CIN Ⅱ, CIN Ⅲ로 분류한다. CIN Ⅰ은 경증 이형증으로 상피층 하부 1/3이 유사핵분열과 미성숙세포로 변형된 경우이고, CIN Ⅱ는 중등도 이형증으로 상피층 2/3까지 유사핵분열과 미성숙세포로 변형된 경우이며, CIN Ⅲ는 중증 이형증과 상피내암을 포함하며 유사분열과 미성숙세포가 상피층의 상부 1/3 이상 또는 상피세포의 전체가 변형된 경우이다. 경증 자궁경부상피내종양은 치료를 하지 않더라도 60-85%에서 자연 소실의 여지가 있으나, 중증의 자궁경부상피내종양(CIN3)은 상피내암(CIS)과 형태학적으로 감별이 어려워 두 병변을 구분하는 것이 무의미하다.
2.1.2. 자궁경부암의 발생과정
자궁경부 표면의 정상 상피세포에서 시작해 미세한 현미경학적인 변화가 발생하는 자궁경부 상피내이형성증을 거쳐, 상피 내에만 암세포가 존재하는 자궁경부상피내암으로 진행한다. 이 단계에서 발견하지 못하여 치료하지 못하면 다시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행하게 된다. 정상 상피세포에서 침윤암이 되는 과정은 서서히 진행된다. 자궁경부 표면의 정상 상피세포가 미세한 현미경학적 변화를 거쳐 자궁경부 상피내이형성증으로 발전하고, 이후 상피 내에만 암세포가 존재하는 자궁경부상피내암 단계로 진행하며, 마지막으로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발전하게 되는 것이다.
2.1.3. 원인 및 위험 요인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감염이 자궁경부암의 가장 핵심적인 원인이다. 성 접촉을 통해 쉽게 감염될 수 있는 이 바이러스는 대부분의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발견되며, HPV 감염이 있는 경우 자궁경부암 발병 위험이 10배 이상 증가한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궁경부암 발병 위험이 높아지며, 주로 30대 후반에 많이 발생한다. 성관계 시작 연령이 16세 이전인 경우, 성 상대자가 많은 경우, 출산 횟수가 많은 경우에도 자궁경부암 발생 위험이 높다.
...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2012).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송경애 외(2015). 최신 기본간호학(상). 수문사.
송경애 외(2015). 최신 기본간호학(하). 수문사.
조경숙 외(2014).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조경숙 외(2014).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국제간호진단협회(2016).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정담미디어.
고일선 외(2014). 간호과정 비판적 사고와 임상추론의 적용. 정담미디어.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2014).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네이버 건강 베타. 의약품 정보. http://health.naver.com/diabetesSpecial/list.nhn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드럭인포. http://www.druginfo.co.kr
네이버지식백과, 자궁경부암, 2022-07-06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46411&cid=60406&categoryId=60406
네이버건강백과-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자궁경부암, 2022-07-06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857&cid=51007&categoryId=51007
두산백과, 자궁경부암, 2022-07-06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07791&cid=40942&categoryId=32791
네이버건강백과, 자궁경부암의 치료, 2022-07-06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98499&cid=51009&categoryId=51009
네이버지식백과, 자궁경부암 예방가이드, 2022-07-06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09530&cid=60407&categoryId=5101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2020, p. 338~343, 362~379
네이버지식백과, 대한5%포도당가칼륨나트륨주3호, 2022-07-06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41803&cid=51000&categoryId=51000
네이버지식백과, 페티딘, 2022-07-06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69566&cid=59913&categoryId=59913
네이버지식백과, 푸로세미드, 2022-07-06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33998&cid=67286&categoryId=67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