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정신건강이라는 것은 정신(사고 및 감정의 작용을 다스리고 있는 사람의 마음)과 건강(신체적인 건강 및 정신적인 균형이 외부적인 환경에 적합한 사회기능)이 합쳐진 말이며, 정신적인 안녕 및 신체. 사회. 도덕적인 건강이라는 개념까지도 모두 내포되고 있는 개념이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는 이러한 정신건강이 유지되는 것이 갈수록 더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그 중에서도 최근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는 가정폭력이라는 것에 대해서 알아보며, 정신건강적인 원인까지 파악해보면서 정신건강에 대해서 더 깊이 알아보도록 하겠다.
2. 가정폭력의 특징과 원인 및 대책
2.1. 가정폭력의 개념
가정폭력은 배우자 학대와 자녀학대, 노부모 학대 등의 가족을 이루는 구성원들에 대한 폭력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대방에게 신체적으로 고통 및 상처를 주고자 하는 고의성을 가지고 수행하는 행위이다. 뿐만 아니라 가족구성원 사이의 신체, 언어, 정신, 성적 학대까지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최근 심각해지고 있는 인구 노령화 현상으로 인해 자원의 부족 및 소외되어진 노인의 학대, 방임을 증가시키게 되었으며, 가정폭력의 정도는 가볍게 신체적인 고통을 주는 것부터 시작해서 살인까지 아주 광범위하다. 가정폭력이 발생하고 있는 범위로 가족 간에서 나타나고 있는 학대와 폭력 관계가 포함될 수 있으며, 평균적으로 가정폭력이라고 하는 것은 주로 남편이 아내에게 행하고 있는 폭력이 아주 흔하게 발생하고 있는 형태이다. 발로 걷어찬다거나 주먹으로 때리는 것, 물건 등을 가지고서 구타를 하는 것, 칼이나 총 같은 흉기를 가지고 위협을 한다거나 사용하는 것 등의 형태로써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가정폭력으로 인해서 피해를 당하고 있는 사람들의 숫자는 점차적으로 더 늘어나고 있고, 이러한 가정폭력이 정신적, 신체적인 건강에 미치고 있는 부정적 영향은 상당하게 크게 나타나고 있다. 그렇기에 가족들을 신체, 성적으로 학대를 하고 있는 이러한 문제는 더 이상 개인적으로 해결을 하는 문제가 아니라 한 사회 전체가 꾸준하게 집중을 하며 해결을 위해 노력을 해야 하는 문제가 되고 있다.
2.2. 폭력을 행사하는 남자의 공통적 특징
폭력을 행사하는 남자의 공통적 특징이다. 낮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다. 폭력적인 부부관계에 대한 미신들을 믿고 있다. 남성적 우위와 가정에서의 고정관념적 남성 역할을 신뢰하고 있는 보수주의이다. 자신이 여성에게 교훈을 가르칠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행동에 대해 조언하는 다른 사람들을 비난한다. 지나친 질투심을 가지고 있다. 자신이 안전하다는 사실을 느끼기 위해 아내의 삶에 대해 과도하게 참견한다. 늘 아내를 감시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아내가 만나는 모든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해 의심을 가지고 있다. 의심되는 사건에 대해 자주 언어폭력을 사용한다. 심한 스트레스의 반응을 보이는데, 이때 술을 마시고 아내를 때리거나 괴롭힌다. 이중적 인격을 나타낸다. 자신의 폭력적 행동이 어떠한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믿지 않는다. 특히 자기 부부가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부정하고, 만일 아내가 이 사실을 누군가에게 알리면 분노한다. 과잉행동의 모습을 보인다. 어릴 적 폭력가정에서 자랐다. 아버지가 어머니를 때리는 모습을 보았거나 스스로 폭력을 당했다. 어머니와 그의 관계는 비정상적이었다. 종종 서로 사랑하면서도 미워하는 상극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