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생태교육프로그램 중 세시풍속에 대한 프로그램을 설명하시고 24절기 중 한가지 절기를 선택하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생태교육프로그램 중 세시풍속에 대한 프로그램
2.1. 세시풍속 프로그램
2.2. 24절기 중 '입하' 선택
2.2.1. 유래와 시기
2.2.2. 놀거리
2.2.3. 먹거리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산업문명의 피해자인 우리 아이들은 산업화 이후'자연'과'놀이'그리고'아이다움'을 잃어버리고 있다. 그러므로 생태유아교육은 아이들에게 잃어버린 자연 및 놀이와 아이다움을 되찾아 주는 데 길을 모색하고 있다. 생태유아교육 중 세시풍속 프로그램은 세시풍속을 통해서 우리 겨레의 얼을 느끼고 아이들에게 계절의 변화에 따라서 생활 주기성을 알게 하며, 우리의 건강한 먹거리를 먹고 더불어 즐길 수 있는 놀이 및 조상들의 삶의 지혜를 알 수 있다. 세시풍속은 계절과 자연의 흐름 그리고 절기에 맞게 계획하고 준비하면 된다. 세시풍속은 학부모나 명절에 할머니와 할아버지 그리고 동네 어른들을 모시고 아이들과 교사가 같이 어우러져 잔치분위기를 낸다.
2. 생태교육프로그램 중 세시풍속에 대한 프로그램
2.1. 세시풍속 프로그램
세시풍속은 계절의 변화에 따른 생활의 주기성을 알면서 조상들의 삶의 지혜를 깨닫게 되는 과정이다. 우리 사회에 다양한 모습으로 이어져 내려왔으며, 아이들의 삶과 교육에 중요한 교육내용이 될 수 있다. 유아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전통문화와 풍습 등을 교육시켜 나가야 한다. 유아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해서는 선조들에게 전해져 내려오는 음식, 문화, 놀이 등을 유아들이 직접 체험을 통해 겪어볼 수 있도록 한다. 유아들에게 전통문화도 지키고, 조상들의 생각과 가치관도 학습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각 계절의 변화가 뚜렷한 우리나라는...
참고 자료
나유미 외 1/영유아보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공동체/2020
박찬옥 외 4/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정민사/2021
김혜진(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김유리(2017).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조희정(2020). 유아들의 세시풍속 경험 이야기(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안철환. (2011). 『24절기와 농부의 달력』. 소나무.
김태우, 민병희, 류영희. (2017). 「24절기와 세시 체계의 의미와 상관성에 대한 연구」. 민속학연구, (40), 189-217. 국립민속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