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임상 에피소드 분석
1.1. 환자 상태 및 진단
이0님은 COPD 진단을 받고 본원 PIM OPD에서 외래 진료를 받으며 경구 투약 중이었다. 이후 4월 4일 새벽부터 호흡 곤란과 가슴 불편감이 발생하여 119 구급차로 본원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응급실 내원 당시 심박수 감소와 의식 저하 증상이 있었으나, 이후 심박수가 회복되었다. 내원 후 진찰 결과 COPD 악화와 동반된 호흡기 감염이 주요 원인으로 판단되어 내과 병동에 입원하였다. 환자의 과거력으로는 2012년 고혈압, 2017년 당뇨병을 진단받아 약물 치료 중이었다.
1.2. 신체 활징후 및 처치
신체 활징후 및 처치는 다음과 같다.
환자 이ㅇㅇ님의 활징후를 살펴보면, 내원 당시 측정된 활징후는 176/78-56-20-36.2 였으며, SpO2는 95%로 확인되었다" 이후 O2를 1L/min으로 감량한 이후에는 정규 V/S이 135/69-58-20-36.2, SpO2 97%로 측정되었다" 이처럼 활징후 측정을 통해 환자의 호흡 상태와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의사의 처방에 따라 O2를 감량하는 처치를 제공하여 환자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었다" 또한 SpO2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저산소증 발생 여부를 파악하고, 환자에게 포터블 O2 모니터를 적용하여 스스로 산소포화도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환자의 호흡 상태를 세밀히 관찰하고 관리할 수 있었다"
1.3. 투약 및 주사 관리
투약 및 주사 관리는 간호 업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환자에게 정확한 투약과 안전한 주사 관리는 환자의 건강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이 환자의 경우, 경구 약물인 아서틸정 8mg을 복용하도록 하였다. 경구 투약 시 환자 확인, 처방 확인, 정확한 용량 측정, 투약 시간 준수 등이 중요하다""이다. 또한 주사제인 항생제 (NS50ml에 Tazoperan 4.5g)를 정맥으로 투여하였다. 정맥주사 시에는 정맥로 확보, 무균술 준수, 주입 속도 조절, 주입 부위 관찰 등이 필수적이다""이다.
특히 이 환자의 경우 당뇨병으로 인슐린 주사를 맞고 있었는데, 인슐린 펜을 이용하여 식전 투여를 하였다. 인슐린 주사 시에는 투여 부위 확인, 공기 방울 제거, 적절한 주입 방법, 저혈당 증상 관찰 등이 중요하다""이다.
이처럼 투약 및 주사 관리 시에는 환자 확인, 처방 확인, 무균술 준수, 투약 시간 준수, 부작용 관찰 등이 필수적이다. 간호사는 이러한 원칙을 숙지하고 정확하게 수행해야 하며,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투약 및 주사 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이다.
1.4. 간호 기록 및 보고
간호 기록 및 보고는 환자의 상태와 간호 활동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기록하여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간호활동이다.
간호기록은 환자의 상태변화와 간호중재에 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기록하여 간호의 지속성을 보장하고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환자의 상태와 간호과정을 상세히 기술하며, 특히 활력징후, 투약, 처치, 검사결과 등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기록한다. 환자의 호소, 간호사의 판단 및 중재, 환자의 반응 등을 시간 순서대로 자세히 기술하여 간호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간호기록은 의무기록의 일부로서 법적 증거가치를 지니므로 정확하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간호보고는 환자의 상태와 간호 활동에 대해 의사, 다른 간호사 등 관련 의료진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리는 것이다. 구두보고와 서면보고로 구분되며, 구두보고는 간호사 간 교대 시 환자 상태와 간호 활동을 전달하고, 서면보고는 간호기록을 통해 이루어진다. 정확한 보고를 통해 의료진 간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이는 환자 간호의 질 향상으로 이어진다.
이와 같이 간호 기록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