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산업체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선정한 사례
1.2. 연구의 필요성
1.3. 문헌고찰
2. 산업체 특성 및 문제분석
2.1. 전국 산업체 사정
2.2. 지역사회 사정
2.3. 부산 쿠팡 사정
3. 산업체 간호진단
3.1. 우선순위 결정방법
3.2.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목록
4. 산업체 간호계획
4.1. 목표설정
4.2. 계획 및 수행
5. 결론 및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선정한 사례
지역사회간호진단: 산업체 간호
부산에서 집배원으로 일하는 박씨는 2015년 9월 18일 폭주하는 추석 택배물품을 내리던 중 허리와 어깨를 다쳤다. 같은 달 22일 병원을 찾은 박씨는 허리의 염좌와 긴장, 추간판탈출증(디스크), 오른쪽 어깨 인대파열 및 낭종 진단을 받았다. 이후 박씨는 공무원연금공단을 상대로 허리와 어깨 부상 모두를 산재로 처리해달라고 요청했으나, 공단 측이 허리 디스크와 오른쪽 어깨 낭종에 대해서는 인정하지 않자 소송을 냈다. 법원은 추석택배가 몰린 2015년 9월 박씨의 잔업시간이 62시간에 달한 점, 업무 외에 허리통증을 급격히 발병ㆍ악화 시킬 만한 사유를 찾기 어려운 점 등을 들어 허리 디스크를 산재로 인정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이 판사는 "박씨가 당시 극심한 허리 통증을 느꼈음에도 충분한 휴식을 하지 못하고 허리에 부담이 되는 작업을 반복 수행해 디스크 증상이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며 "업무로 인해 발병했거나 기존 질환이 급격히 악화됐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어깨 낭종에 대해서는 업무로 인해 발병ㆍ악화됐다고 보기 어렵다며 공무상 재해로 인정하지 않았다.
근골격계 질환의 산재 환자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데, 안전보건공단의 통계에 따르면 근골격계질환 예방에 관한 법 제도가 신설된 2003년에 4,532명의 근골격계질환자가 발생하였으며, 감소 추세를 보이다 2007년 7,723명의 근골격계질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후 5,000여명의 수준에서 등락을 거듭하다 2019년에는 9,440명이 발생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의 진료현황 분석 결과를 보면, 지난해 건강보험 대상자 5139만명 중 1761만명이 근골격계 통증으로 병원 진료를 받았으며, 우리나라 국민 3명 중 1명은 근골격계 질환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0년 전인 2009년의 1285만명보다 476만명 늘어난 수치다. 성별로는 남성(752만명)보다는 여성(984만명)이 더 많았고, 연령별로는 50대가 전체의 23%(401만명)에 달했다. 또한 2020년 9월 산업재해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운수창고 통신업 재해자 20 % 증가, 사고 재해자는 전년 동기 대비 23.5% 증감하였다. 신체 부담 작업이 4,021명으로 가장 높은 증감률을 보였으며, 작년에 비해 9프로 증가를 보였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활동이 제한되자 비대면(언택트) 산업이 급부상하기 시작한 결과로 보인다. 2020년 상반기 택배회사들은 물량 폭증으로 큰 이익을 보였다. CJ대한통운의 경우 상반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1.3% 증가했다. 기사당 평균 배송 물량은 30%가량 늘었다. 그럼에도 원래 그랬듯이 대부분의 택배는 하루이틀내 도착하였다. 택배기사들의 노동 강도는 더욱 강해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관련 자료를 통해 장시간 노동과 취약한 작업환경으로 산업재해에 노출되기 쉬운 과중도가 높아진 만큼(그림2) 과로사 등 관련 질병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필수노동자 작업 환경 개선 및 유병률을 줄이는 방안을 찾아내는 것은 중요하다.
① 산업보건
1) 산업보건의 개념
직업인의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복지를 최고도로 유지, 증진시키기 위해 작업 능률과 노동의 생산성을 확보하면서 근로의 방법과 생환조건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노동으로 인한 인간의 건강 및 작업환경의 문제를 자연과학적 지식에 근거하여 사회적 보건학적 측면에서 문제해결을 접근하는 분야이다.
2) 산업보건의 목표
작업조건이 근로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것, 근로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유해인자에 폭로되지 않도록 하는 것, 신체적, 정신적으로 적성에 맞는 작업환경에서 일하도록 배치하는 것, 근로자의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상태를 최고수준으로 유지, 증진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 나라에서 1980년 이후 보다 포괄적이며 예방적인 산업보건사업 수행을 위한 산업안전보건법을 제정하고 있다.
3) 산업보건사정
산업 간호사는 근로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고도로 유지, 증진시키기 위해 산업공동체를 대상으로 근로자의 건강관리, 산업위생관리, 보건교육을 일차보건의료수준에서 제공함으로써 산업체의 자기건강관리능력을 적정기능수준으로 유지한다. 산업간호 대상은 근로자, 작업환경, 근로자와 작업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구분된다. 사업장 건강관리 목적은 근로자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및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대상 사업장의 건강수준을 파악하여 이에 부응하는 산업보건사업을 계획, 수립하고 수행, 평가함으로써 질적 건강관리 향상이다.
4) 산업간호사 업무
일차예방 - 건강증진프로그램 운영, 질병예방, 보건교육 및 안전교육, 상해예방
이차예방 - 건강진단 실시 협조, 응급처치, 상해 진단 및 치료, 유해요인 노출 모니터링
삼차예방 - 건강진단 실시결과에 따른 작업조정, 만성질환 모니터링
② 근골격계 질환
1) 정의
근골격계질환은 오랜 시간 반복적인 작업을 지속해 발생하는 육체적 질환을 뜻하며 요통이나 어깨 결림이 주요 증상이다. 오랜 시간에 걸쳐 반복적인 작업을 지속하면 근육, 혈관, 관절, 신경 등에 미세한 손상이 생기고 이것이 누적되면 손가락, 손목, 어깨, 목, 허리 등에 만성적인 통증이나 감각...
참고 자료
산업재해 사례 기사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3720322
국가정보포털 KOSIS https://kosis.kr/search/search.do
통계청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대한산업보건협회 https://kiha21.or.kr/?portfolio=2019%eb%85%8407%ec%9b%94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보건산업통계 http://khiss.go.kr/
한국건강증진개발원 http://www.khealth.or.kr/
쿠팡스토리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0526921&memberNo=9663365
조선일보 기사 https://www.chosun.com/economy/market_trend/2021/01/13/CR3ZJ35YKJDVBCIPXFI5FTBKSU/
부산산업과학혁신원 https://www.bistep.re.kr/web/main/main.do?mId=1
2017.01.08. 조용석 명절 택배물량 늘어 허리 다친 집배원…法 “공무상 재해로 봐야”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3720322
쿠팡스토리 2021.01. 20 ‘쿠팡은 대규모 고용, 자동화 설비, 물류종사자 100% 직고용으로 근무환경을 개선해왔습니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0526921&memberNo=9663365
조선일보 기사 장산진 2021.01.13. 청와대가 칭찬한 쿠팡, 2명 뽑으면 1명이 ‘탈팡’ 왜? https://www.chosun.com/economy/market_trend/2021/01/13/CR3ZJ35YKJDVBCIPXFI5FTBKSU/
매일노동뉴스 연윤정 2021.02.19 택배물류 공룡’ 쿠팡 지난해 인정된 산재만 758건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399
STARTUP.JOBS https://startup.jobs/ehs-%EC%82%B0%EC%97%85%EB%B3%B4%EA%B1%B4-%EB%8B%B4%EB%8B%B9%EC%9E%90-at-coupang
부산산업과학혁신원 https://www.bistep.re.kr/web/main/main.do?mId=1
한국산업안정공단 , 2020. 9월말 산업재해 발생현황 https://kosha.or.kr/kosha/data/industrialAccidentStatus.do?mode=view&articleNo=419043&article.offset=0&articleLimit=10
한국산업안전공단, 직종별 근골격계질환 예방 매뉴얼 (택배업종의 운전배달작업) 2006 https://kosha.or.kr/kosha/researchField/researchReportSearch.do?mode=view&articleNo=419789&article.offset=0&articleLimit=10
최연희·이지현 외(2016),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2, 수문사
황옥남 외(2017).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제7판
고정은외 지역사회간호학2. 현문사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편,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I, 수문사, 2019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편,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II, 수문사, 2019
마당장터 블로그, “근골격계부담작업과 건강장해예방”
https://blog.naver.com/bogunmadang/221436228683, (2019. 09. 24 확인)
국가법령정보센터, “근골격계부담작업의 범위”
http://www.law.go.kr/admRulLsInfoP.do?admRulSeq=2200000013281, (2019. 09. 24 확인)
남횰월뜨 블로그, “유해물질 허용기준”
https://blog.naver.com/zhdkffk008/221533435557, (2019. 09. 26 확인)
국가법령정보센터,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12조”
http://www.law.go.kr/법령/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제512조, (2019. 09. 25 확인)
국가법령정보센터,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17조”
http://www.law.go.kr/법령/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제517조, (2019. 09. 25 확인)
네이버 지식백과, “소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14084&cid=40942&categoryId=32411, (2019. 09. 25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