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알콜중독 case study"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례의 특징 및 선정의 이유
1.2. 간호과정 적용의 목적
1.3. 문헌고찰
2. 본론
2.1. 자료수집
2.2. 간호과정
2.2.1. 간호진단 목록
2.2.2. 간호과정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례의 특징 및 선정의 이유
이 대상자는 알코올 단주를 8년 동안 하고 있는 대상자이다. 장기간 알코올 단주를 하면서 상태가 많이 완화되고 특별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지는 않지만, 알코올이라는 것은 방심하면 언제든 재발할 가능성이 있기에 잠재적 문제를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특히 이 대상자는 알코올 단주 이전 매번 블랙아웃 현상이 나타날 정도로 상태가 심각했으며, 음주 후 낙상으로 인한 뇌출혈의 과거력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알코올 단주를 하고 있는 현재까지도 잠재적인 위험성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에 이 대상자를 선정하게 되었다. 장기간의 알코올 중독 경험과 재발의 위험성이 있는 대상자로 선정하여 개별화된 간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1.2. 간호과정 적용의 목적
간호과정 적용의 목적은 대상자의 잠재적인 건강 문제를 확인하고, 정확한 진단을 내림으로써 개별화된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간호 과정을 적용하면 표준화된 간호가 아닌 개개인의 요구에 따른 간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개인의 심리적, 사회적, 영적 반응도 다룰 수 있기 때문에 전인적 간호를 가능하게 한다. 이 대상자는 현재 단주를 하고 있지만 알코올 중독이 재발할 수 있다는 불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확인함으로써 개별화된 간호를 제공하고, 대상자의 안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알코올 중독은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과도한 음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이 손상되는 만성 질환이다. 알코올 중독은 다른 정신 질환과 마찬가지로 한 가지 원인으로 설명할 수 없으며, 심리 사회적, 유전적, 행동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알코올 중독의 증상으로는 신체적 손상, 신경정신과적 문제, 성격의 변화 등이 나타난다. 치료 방법으로는 중재, 해독, 재활 등이 있으며, 정신요법과 약물치료도 병행한다.
이 대상자는 8년 째 단주 중으로 건강 상태가 많이 호전되었지만, 여전히 술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뇌출혈 약을 평생 복용해야 한다는 점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현재 호소하는 불면증을 해결하고 수면의 질을 높이는 것이 가장 우선으로 다뤄져야 할 문제이다.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자신에게 효과적인 방법을 찾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불안을 대처하는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도 수면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번 실습을 통해 알코올 중독의 위험성에 대해 깊이 깨닫게 되었으며,...
참고 자료
임숙빈 외 (2016),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P.426~455
이경희외 (2017), 「정신건강간호학」, JMK, P.566~595
Meg Gulanick 외(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 현문사, P.156~158, P.118~183, p.275~278
차영남 외(2013),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NANDA) 3판」, P.46~48, P.235
서울대학교 병원 간호본부(201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P.656~660
MSD, https://www.msdmanuals.com
서울대학교병원, https://www.snuh.org/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https://www.cmcseoul.or.k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유해영 외(2009),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김태진 외(2006), 최신정신건강간호학 각론, 정담미디어
김시연 외(2009), 제5판 최신정신의학, (주)일조각
이정태 외(2008), Glen O. Gabbard의 역동정신의학 제4판, 도서출판 하나의학사
천영훈(2010), 100문 100답 알코올중독, 도서출판 하나의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