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영양불충분의 일반적 특성
영양불충분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영양불충분은 신체에 필요한 영양소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주로 식사의 불규칙성, 섭취량 부족, 영양지식 부족 등으로 인해 초래된다. 따라서 영양불충분은 영양상태의 불균형을 야기하고, 이는 신체 기능의 저하와 건강상태의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노인, 만성질환자, 저소득층 등의 취약계층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이들은 경제적 어려움, 식생활의 불편함, 건강 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영양불충분에 노출되기 쉽다. 영양불충분의 증상으로는 피로, 체중 감소, 면역력 저하, 근력 약화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영양불충분에 대한 정기적인 사정과 중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1.2. 대상자의 건강문제 파악
김**님은 75세 남성으로 7년 전 이혼한 뒤 혼자 거주하고 있다. 그는 2009년 고혈압, 2010년 당뇨를 진단받았으며 2016년에는 허리 협착증 수술을 받았다. 그러나 현재 혈압약과 당뇨약, 허리 협착증 약을 처방대로 복용하지 않고 있다. 감기나 두통 증상이 있을 때는 약국에서 증상 완화 시럽을 처방받아 복용하고 병원에는 내원하지 않는다. 이혼 이후로 자녀들과의 교류가 거의 없으며, 이웃과도 왕래가 없어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다. 또한 걷기를 어려워하며 원인을 모르고 있다. 하루 1갑의 흡연과 주 3병 이상의 음주를 하는 등 건강행위가 불량하다. 신체계측 결과 BMI 14.99로 저체중이며, 최근 1달 내 3kg의 체중 감소가 있었다. 2020년 1월 방문 시 우울감을 호소했으며, 노인 우울 검사 결과 경증우울로 측정되었다. 전반적으로 부적절한 영양 섭취, 우울감, 사회적 고립 등의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다.
1.3. 간호사정의 필요성
간호사정은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파악하고 간호중재의 계획과 수행, 평가에 필수적인 과정이다. 간호사정을 통해 대상자의 신체적,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건강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정확히 진단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수립할 수 있다. 또한 간호사정 결과는 간호사와 대상자 간의 치료적 관계 형성에 도움을 주며,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영양불충분과 같은 노인의 건강문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각도의 사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간호사정은 대상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핵심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2. 간호사정
2.1. 신체적 건강상태
대상자 김**은 75세 남성으로 7년 전 고혈압(HTN)과 2010년 당뇨병(DM)을 진단받았다. 2016년에는 허리 협착증으로 수술을 받은 이력이 있다. 현재 혈압은 155/100mmHg, 공복 혈당은 152mg/dL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김**은 처방된 혈압약과 당뇨약, 협착증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하지 않고 있다. 두통과 감기 증상 발생 시 약국에서 증상 완화제를 구매하여 복용하며, 병원에 내원하지 않는다. 김**은 걷는 것이 불편하여 10분 이상 걷지 못하지만 그 원인을 모르고 있다. 또한 운동을 전혀 하지 않고 일주일에 3병 이상의 술을 마시며, 하루 1갑의 흡연을 하다가 금연에 실패한 상태이다. 식욕부진과 소화불량으로 인해 식사를 잘 하지 않으며, 주로 라면이나 반찬 한 가지로 끼니를 해결한다. 키 170cm, 몸무게 43kg으로 BMI 14.99로 저체중 상태이며, 1개월 전 방문 시보다 3kg 감소하였다.
2.2. 정신심리적 건강상태
대상자는 만성적인 외로움과 우울감을 겪고 있다. 이혼 후 가족과의 관계가 단절되었고, 이웃과도 왕래가 없어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다. 경로당에도 1년째 가지 않고 있으며, 생활을 오로지 TV와 책 읽기로 영위하고 있다. 노인 우울 검사 결과 경증 우울 상태로 나타났다. 대상자는 자신의 삶이 무가치하다고 느끼며, 활력이 부족하고 의욕이 저하되어 있다. 또한 기억력 및 인지기능의 저하도 관찰된다. 이처럼 대상자는 심각한 정신심리적 불균형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자의 외로움과 우울감은 사회적 고립, 경제적 어려움, 건강 악화 등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혼과 가족관계 단절로 인한 정서적 지지 부족, 건강관리 소홀로 인한 신체적 쇠약, 빈곤으로 인한 스트레스 등이 대상자의 정신건강을 악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대상자의 정신심리적 건강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