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교정복지론, 영화 하모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영화 '7번방의 선물'의 줄거리
2.2. 교정복지적 관점에서의 시사점
3. 결론
4. 참고문헌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교정복지는 범죄인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사회복지 철학과 가치관을 바탕으로 사회복지 정책과 실천기술을 활용하는 사회복지학의 한 분야이다. 미시적으로는 개인·가정 및 지역사회 단위의 전문 프로그램을 이끌어내 범죄인의 교정·교화와 건강한 재사회화, 가정의 안정 및 문제 해결을 지원하는 총체적 활동이며, 거시적으로는 범죄인의 인간적 존엄성과 생존권적 기본권에 초점을 두면서 범죄 문제를 해당 범죄인 책임보다는 지역사회와 국가의 책임으로 보는 사회재통합적 관점에서의 국가 정책과 제도 마련에 관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정복지 관점은 범죄인이 가해자이자 피해자라는 명제에 동의하며, 사법적 낙인이 범죄인의 사회복귀와 재통합을 어렵게 하는 장애요인이라는 사실에 근거한다. 따라서 교정복지는 모든 정책과 프로그램에서 사회보호에 앞서 범죄인의 복지 증진에 초점을 두어 생산성과 사회적 형평성을 중요시한다.
2. 본론
2.1. 영화 '7번방의 선물'의 줄거리
용구는 어린 딸 예승이와 함께 살아가고 있다. 용구는 지체 장애 3급으로 6살의 지능을 가지고 있다. 용구는 대형마트에서 주차요원으로 일을 하고 있으며 딸인 예승이가 가장 좋아하는 세일러문 그림이 그려진 가방을 사주려고 한다. 하지만 마지막 하나 남은 가방이 팔리게 되면서 살 수 없게 된다. 이때 경찰청...
참고 자료
배임호, 「교정복지론」, 공동체, 2021.
신연희, 「수용자자녀들의 상황과 관련제도의 과제 - 아동의 권리를 중심으로 -」, 제30회 아시아교정포럼 추계공동학술대회, 2019.
천정환, 「한국 교정복지의 의의와 발전과제」, 한국교정학회, 2011.
김선문, 「교정복지의 관점에서 소년범죄의 재범방지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