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등학교 방송부 지원동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등학교 방송부 지원동기
1.1. 갈등의 시작
1.2. 갈등의 심화
1.3. 갈등의 원인과 쟁점 - 가치관의 차이
1.4. 갈등의 해결 - 틀린 것이 아닌 다름을 인정하는 자세
2. 학교 밖 청소년 유형 분류
2.1. 동기 또는 의지, 목표에 따른 분류
2.1.1. 적극적, 자발적 유형과 비자발적 유형
2.1.2. 능동형, 도피형, 불가피형
2.2. 중단 후 생활과 욕구에 따른 분류
2.2.1. 적응형, 정착형
2.2.2. 부적응형, 비정착형
3. 학업중단 숙려제
3.1. 목적
3.2. 추진방향
3.3. 학업중단 숙려제의 세부내용
3.4. 학업중단 숙려제의 기대효과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등학교 방송부 지원동기
1.1. 갈등의 시작
고등학교 때 방송부 활동을 하면서 겪었던 갈등의 시작은 다음과 같다. 필자는 중학교 시절부터 친구의 방송부 활동이 멋있어 보여 중학교 진학 후 방송부에 지원하게 되었고, 합격하여 꿈꾸던 방송부 생활을 시작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당시 방송부 부장이었던 선배는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방송부 분위기가 매우 무겁고 숨이 막힐 정도로 어려웠다. 선배들의 폭언과 구타가 난무했으며, 필자 역시 그 폭력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비록 선배들보다 자신이 낫다고 생각했지만, 그런 강압적인 분위기가 당연하다고 여기게 되었고, 필자 또한 무례한 언행을 하게 되었다.
1.2. 갈등의 심화
본인은 중학교 시절 경험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당연시하게 후배들에게 내가 옳다, 라는 형태로 방송부를 이끌었다. 중학교 시절에도 방송부 부장을 맡아 학교 행사를 주관했으며, 고등학교에 와서는 스스로 방송부를 창설했다는 자부심까지 더해져 본인의 프라이드는 하늘을 찌를 듯했다. 거기에 학교 선생님들도 본인의 탁월한 행사 주관 능력과 더불어 스스로를 희생하며, 늦게까지 남아 각종 행사를 실수 없이 진행하는 모습을 높게 평가해 주었다. 그러다 보니 본인 스스로가 옳다는 것을 한 치도 의심하지 않았다. 업무적으로 탁월하다고 하여, 내부에서의 활동마저도 옳은 것은 아니었을 텐데, 여전히 그런 생각을 전혀 하지 못했다.
본인은 스스로 솔선수범하여 방송부 일을 돌봤고, 중학교 시절 경험했던 것을 바탕으로 후배들을 관리하려 했다. 그러나 후배들은 본인과는 많이 달랐다. 고등학교 2학년 시절, 방송부 2기였던 1년 후배들은 방송부를 경험해 본 적도 없던 학생들이고 무엇보다 강압적이었던 방송부의 분위기에 적응하지 못했다. 고등학교에서는 폭력을 행사하지는 않았으나 기합을 자주 주었으며, 같은 기수의 동기들 역시도 이런 분위기에 안주하는 느낌이 강했다. 반복되는 강압적 분위기에 결국 나름 방송부의 차기 국장으로 평가받던 후배 한 명이 결국은 탈퇴를 하고야 말았다.
이런 분위기는 본인이 고등학교 3학년이 돼서도 마찬가지였다. 입시 준비를 해야 하는 고3 특성상, 일선에서 물러나야 함에도 여전히 방송부의 최고 선임으로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했다. 방송부의 주축이 되어야 했던 2기들은 여전히 본인의 눈치를 보았고, 당시 신입생이던 3기 고1 학생들은 이런 분위기를 더더욱 이해하지 못했다. 결국 이런 분위기는 2기 후배들의 대규모 탈퇴 선언으로 이어졌다. 그들은 방송부의 주축이 되어야 했음에도 주축이 되지 못했으며, 선생님들은 여전히 그들을 믿지 못하고 학교 행사가 발생할 시 3학년이던 본인을 찾는 것을 이해하지 못했으며, 3기들은 1기와 2기의 갈등 사이에서 갈피를 잡지 못했다. 분위기는 갈수록 더욱 엉망이 되어갔고 이런 분위기 속에서 참지 못했던 2기들은 결국 전원이 탈퇴하겠다는 초강수를 두었다. 3기들의 간청과 1기의 양보로 2기들이 탈퇴 선언을 철회하므로 일단락되었으나 여전히 갈등은 남아있었다.
1.3. 갈등의 원인과 쟁점 - 가치관의 차이
이렇게 본인과 2기 후배들의 갈등이 심화하게 된 이유에는 두 가지 정도로 분석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전술한 대로 본인의 중학교 시절의 잘못된 경험이다. 어떤 경우에도 폭력과 폭설은 용납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지만, 본인은 사고가 정립되기도 전의 어린 시절에 그런 환경 속에서 방송부 생활을 했고, 그것은 결국 본인의 가치관이 그런 폭력과 폭설을...
참고 자료
원선화, 「청소년복지론, 올리, 2018.
오은진,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여성가족부(2015).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휴먼컬쳐아리랑.
유순화(2016). 등교거부 학생을 위한 학업중단숙려제 상담 프로그램.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