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국인학습자들의 입장에서 한국어의 어떤 발음이 어려운지 사례별로 제시해봅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영어권 학습자
2.2. 중국어권 학습자
2.3. 일본어권 학습자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외국어를 학습할 때 발음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정확한 발음은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언어 습득의 기본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외국어 학습자들은 자신의 모국어로부터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목표어의 발음에 어려움을 겪는다.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들 또한 모국어와의 차이로 인해 특정 한국어 발음에 어려움을 느낀다. 영어권, 중국어권, 일본어권 학습자들은 각자의 모국어 특성에 따라 자음, 모음, 초분절음 등의 측면에서 다양한 오류를 나타낸다. 이러한 발음 오류는 단순한 발음 문제를 넘어 원활한 의사소통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에서 주목해야 할 중요한 부분이다.
영어권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의 평음, 경음, 격음에 대한 구별을 어려워하며 모음 앞 'ㅅ'을 'ㅆ'으로 발음하는 등의 오류가 나타난다. 또한 무성 자음을 유성음으로 발음하거나 받침 발음을 생략하는 특징이 있다. 모음에 있어서는 'ㅡ' 발음이나 이중모음에서 오류가 발생하며, 강세와 억양에서도 모국어의 간섭을 받는다.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경음 발음과 평음-격음 구별에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받침 발음을 잘하지 못하고 'ㅅ'을 'ㅆ'으로 발음하는 등의 특징이 있다. 모음 측면에서는 'ㅡ' 발음과 'ㅓ-ㅗ'의 구별이 어렵고, 종성에서의 비음화, 유음화 적용이 부자연스럽다. 억양에 있어서도 모국어의 영향으로 끝을 내리지 않고 고저 변화가 과도한 경향을 보인다.
일본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경음, 격음, 평음 구분을 어려워하며 받침 발음에서 개음절화하...
참고 자료
박은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진단 방안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유준연, 한국어 발음 교육을 위한 교재 내용 분석 및 연습 자료 구상, 한국외국어대학교 KFL대학원, 2022.
신예주, 발음 진단 결과를 활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계명대학교, 2019.
김혜경(2007), 영어와 한국어의 음운조직에 대한 발음오류 연구,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전원해(2005), 중국 학생들의 한국어 발음 오류 연구: 자음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대조언어학 강의교안/배론원격평생교육원
중국인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자음과 모음을 중심으로)/강비(중국 산동공상대학교)/2019년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 발음 연구/김정윤/한국외국어대학교교육대학원/2007년8월
일본어 모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연구/전미순/경희대학교/2001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진단 방안 연구/박은현/계명대학교/2011년
한국어 발음 교육을 위한 교재 내용 분석 및 연습 자료 구상/유준연/한국외국어대학교/2022년
발음 진단 결과를 활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신예주/계명대학교/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