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의 발달은 인간 전 생애에 걸쳐서 일어나는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를 포함해서 진보적인 변화(상승적 변화, 긍정적 변화)와 퇴보적인 변화(하강적 변화, 부정적 변화) 양쪽 모두를 의미한다. 하지만 이러한 발달이 이루어지는 과정과 관련해서 여러 쟁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쟁점 중에서 첫째는 유전과 환경, 둘째는 성숙과 학습, 셋째는 연속성과 불연속성, 넷째는 결정적 시기의 유무이며, 추가로 초기경험 대 후기경험에 관한 쟁점들이 거론되고 있다. 이러한 쟁점들은 인간발달의 본질에 대해서 일반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본론에서는 이러한 쟁점들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발달에 관한 주요 쟁점
2.1. 유전과 환경
인간의 발달에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모두가 영향을 미친다. 인간으로서 우리의 특성은 유전적 요인에 의해 규정되지만, 환경의 변화에 따라 유전적 요인이 변화할 수 있다. 또한 가정의 경제적 수준, 또래, 교사, 유치원 등 다양한 환경적 요소가 유아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단순히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유전적 특성이 유아의 발달에 기본적인 토대를 제공하지만, 환경이 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적으로 키가 작은 아이라도 충분한 영양섭취와 운동으로 예상보다 큰 키를 가질 수 있다. 반대로 유전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가진 아이라도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면 그 잠재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발달에는 유전과 환경이 상호작용하며, 선천적인 특성과 후천적인 경험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부모와 교사들은 유아 개개인의 유전적 잠재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최적의 환경을 마련해주어야 할 것이다.
2.2. 성숙과 학습
인간 발달과 관련해서 제기되는 또 다른 쟁점 중의 하나는 성숙과 학습의 역할에 관한 것이다. 성숙과 학습에 관한 논쟁은 앞에서 언급한 유전 및 환경의 영향에 대한 논쟁과 유사한 부분이 있다. 유전과 환경에 관한 논쟁이 영향의 소재와 근원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성숙과 학습에 관한 논쟁은 어떤 기제와 과정을 통해 변화가 일어나는지에 관한 문제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먼저, 성숙은 생태적인 내적 요인에 의해서 발달적 변화가 통제되는 생물학적 과정이다. 유아기 빠른 성장과 사춘기의 2차 성징처럼 걷기 전에 서고 또한 두 단어를 말하기 전 한 단어를 말하는 것처럼 발달 순서는 성숙에 기인하는 사건들이며, 종의 특성이지 특별한 연습과 훈련의 결과는 아니다. 즉, 이들은 학습에 의하지 않고 일어나는 과정으로 보아야 한다. 성숙론자들은 좋지 않은 환경은 발달을 저해한다고 보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발달은 성숙에 의존한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학습은 직접적 또는 간접적 경험의 산물로 볼 수 있고, 학습은 훈련과 연습 그리고 경험에 기인하는 발달적 변화를 의미하고, 그 경과는 매우 개별적이며 특수하게 이루어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