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간호학 실습, 연령별 활력징후 정상범위 및 측정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간호학 실습
1.1. 폐렴 아동의 간호
1.2. 요로감염 아동의 간호
1.3. 가와사키병 아동의 간호
1.4. 아동의 활력징후 측정방법 및 정상범위
2. 혈액학 및 혈청 화학 검사
2.1. 혈액 검사 항목별 정상 범주와 임상적 의의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간호학 실습
1.1. 폐렴 아동의 간호
폐렴은 폐 실질 조직의 염증으로, 1차성 또는 2차성 질병으로 발생할 수 있다. 폐렴의 형태는 크게 바이러스성과 세균성으로 나눌 수 있다. 바이러스성 폐렴은 influenza와 RSV 바이러스가 주된 원인균이며, 전체 폐렴의 80~85%를 차지한다. 특히 3세 이하의 영유아에게 가장 흔하다. 반면 세균성 폐렴은 5세 미만 아동에서는 폐렴구균과 포도상구균이, 5세 이상 아동에서는 폐렴구균 감염이 주요 원인이다.
폐렴의 병태생리를 살펴보면, 세포 파편의 탈락으로 인해 종말기관지와 폐포의 관내강에 침입하여 세포 파괴가 일어나면서 국소적 침윤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소분절 또는 전체 폐에서 폐포가 수액과 세포로 채워지게 된다. 폐렴 아동의 주요 증상으로는 미열, 고열, 기침, 마찰음, 천명음, 두통, 피로감, 근육통, 복통 등이 있으며,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 침윤이 관찰된다.
폐렴 아동의 간호 중재로는 첫째, 2시간마다 사정하여 호흡음과 호흡수, 리듬, 피부색, 활력징후, 불안정 정도를 확인한다. 둘째, 기도청결, 호흡양상, 가스교환장애, 체액부족, 부모의 불안 등에 대한 간호진단을 수립하고 이에 따른 간호계획을 수립한다. 셋째, 입원한 아동의 경우 필요시 흉부물리요법, 습화된 산소제공, 수액요법, 항생제 투여, 진통제 투여, 활동과 휴식 조절 등의 중재를 제공한다. 넷째, 퇴원 시 가정에서의 관리법과 예방법에 대해 부모교육을 실시한다.
이처럼 폐렴 아동의 간호는 병의 중증도와 질병 원인에 따라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며, 호흡상태와 전신 상태를 면밀히 사정하고 체계적인 간호중재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요로감염 아동의 간호
요로감염은 감염의 전신적인 증상과 함께 소변에 세균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아동에게 흔한 질환으로서 영아와 아동의 요로감염 유병률이 높으며, 만성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요로감염의 원인은 세균이다. 대변의 세균이 회음부 또는 포피 아래에 집락화되어 요도를 통해 방광 속으로 올라가 방광감염 또는 방광염을 유발한다. 방광에서 요관을 통해 신장 실질조직으로 세균이 올라가면 신우신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신우신염의 염증 결과로 반흔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반흔은 아동기 고혈압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요로감염의 요인으로는 선천적 또는 후천적 요관폐색, 소변정체를 야기하는 배뇨기능부전, 해부학적 차이점, 감염에 대한 개별적인 감수성, ...
참고 자료
박호란 외, 『아동간호학 상/하』, 현문사, 2019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상/하권』, 제7판, 현문사, 2019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 1권/2권』 , 수문사, 2020
송경애 외,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2020
「진단검사-정상수치 및 임상적 의의」,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dragonjskim/221756604968
「간호 진단 검사 정상수치 및 임상적 의의」,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fluxweed91/222242618237
「검사항목 조회」, 『임상검사 전문의료기관 GC녹십자의료재단』, https://www.gclabs.co.kr/testingInfo/testingItem_list
박호란 외 (2020). 『근거기반실무중심의 아동간호학 하권』. 현문사 p166-168, p222-224, p535-540, p678-691
송경애 외 (2020).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송경애 외 (2020).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송경애 외 (2020).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황옥남 외 (2019). 『제7판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조미영 (2020). 『기본간호학실습Ⅲ 지침서』 메디컬 에듀케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