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중환자실 물품
1.1. 모니터
1.1.1. 중심정맥압 측정
중심정맥압 측정은 우심방 압력과 우심실 압력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혈액량과 심장으로 귀환하는 정맥혈액량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데 이용된다. 또한 쇽의 상태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고 울혈성 심부전의 초기진단을 할 수 있다.
중심정맥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순환 혈액량, 우측 심장의 펌프기능, 말초혈관의 수축정도이다. 중심정맥압을 측정하는 방법은 우선 손을 씻고 대상자에게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 후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한다. 정맥 울혈을 찾아 표시하고 우심방 높이에서 압력계의 눈금을 '0'으로 맞춘다. 수액이 압력계의 20~25cm 높이까지 채워지게 한 후 3-way를 돌려 수액을 차단하고, 압력계에 채워진 수액이 대상자에게 흘러가도록 한다. 수액이 안정되거나 밑으로 움직이는 것이 중단되면 높이를 측정한다.
정상 중심정맥압은 5~11cmH2O(2~8mmHg)이다. 정상보다 낮은 경우 출혈이나 기타 원인으로 순환 혈량이 감소했음을 의미하여 수액공급이 필요하고, 정상보다 높은 경우 과중한 수액주입으로 인한 과혈량이나 울혈성 심부전을 의미하여 이뇨제가 필요할 수 있다. 중심정맥압 측정 시 주의할 점으로는 대상자의 체위가 바뀌면 압력계의 수준이 달라져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 같은 체위를 유지해야 하고, 수액세트의 공기나 보는 위치에 따른 오차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중심정맥압의 정상치는 환자마다 다르며 계속 변화하므로 연속적인 측정값이 중요하다. []
1.2. 중환자간호 및 응급간호
1.2.1. 의식 및 동공상태 관찰
GCS란 글라스고우 혼수척도로 의식 손상의 정도를 사정하는 데 있어 빠르고 표준화된 체계이다. 대부분의 무의식 환자를 간호할 때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총 15점 만점으로 8점 이하는 일반적으로 혼수상태이며 3점은 완전한 혼수를 나타낸다. 즉 GCS 사정을 했을 때 점수가 높을수록 의식 수준이 명료한 상태를 의미한다.
동공 반응은 정상적이면 크기가 Round하고 빠른 반응을 보인다. 동공이 Ovale한 경우는 IICP, 초기 transtentorial herniation을 의미하며, Keyhole 모양은 백내장 수술, 녹내장 수술 후에 나타난다. Irregurlar 모양은 외상성 안구 손상을 나타낸다. 동공 반응이 Sluggish한 경우는 동안신경이 약간 눌려 있을 때, 뇌부종, 초기 transtentorial herniation을 의미하며, Hippus는 동안신경 장애, 초기 transtentorial herniation를 나타낸다. 그리고 Fixed 된 경우는 동안신경 눌림, 심한 저산소증 허혈, 사망 직전을 의미한다. 정상 동공 크기는 2~6mm이고, Pinpoint는 마약 투여 후, sedation 상태, Large는 약물 남용 시, 안구 손상 시, Small은 bilateral diencephalic lesion and metabolic coma, Dilated는 심한 무산소증, 허혈의 말기, 사망을 나타낸다.
이처럼 의식 및 동공상태 관찰을 통해 신경학적 증상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중환자 간호 시 주기적인 사정이 매우 중요하다.
1.2.2. 위관영양
위관영양이란 위장관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하는 방법이다. 이는 구강섭취가 어려운 중환자에게 필수적인 치료방법이다. 위관영양 시행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손을 씻고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 뒤 대상자에게 절차를 설명한다. 대상자는 45도 정도 앉은 자세를 취하게 한다. 위관이 위에 잘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고, 처방된 용액을 천천히 주입한다. 주입 시 1분에 50cc 이상 주입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처방된 용액 주입이 완료되면 방 온도의 물로 위관을 씻어준다. 주입 후 30분 이상 같은 자세를 유지하게 하여 토하지 않도록 한다.
주입액으로는 표준용액, 고칼로리 용액, 특별 용액 등이 있다. 표준용액은 기본 영양소를 모두 함유하고 있으며, 고칼로리 용액은 1ml당 2kcal의 영양분이 포함되어 있다. 특별 용액은 장운동 촉진이나 특정 상태에 맞추어 구성된다.
수분 공급은 의사 처방 또는 간호사의 소변 관찰을 통해 조절한다. 약물 주입 시에는 약물을 물에 녹여 주입하고, 위관 세척을 통해 약물이 막히지 않도록 한다. 무의식 환자의 경우 호흡과 호흡 사이에 위관을 삽입하고, 필요시 기도유지를 위한 조치를 취한다.
1.2.3.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
중환자들은 장기간 움직임이 제한되어 있어 심부정맥 혈전증 발생 위험이 높다. 따라서 중환자실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심부정맥 혈전증을 예방한다.
체위 변경 및 다리 올리기를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하지 근육 펌프 기능을 증진시킨다. 이를 통해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정맥압 상승을 억제하고 정맥 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