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학금신청사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장학금신청사유서
2. 공중보건 장학제도
2.1. '공중보건 장학제도'를 선택한 근거(이유)
2.2. '공중보건 장학제도' 개요
2.3. '공중보건 장학제도'에 대한 나의 관점
2.3.1. 장점/단점
2.3.2. 제안점
2.3.3. 느낀점
3. 청년저축계좌 사업 알아보기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장학금신청사유서
현재 '공중보건 장학제도'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공공보건의료의 역할이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유증상자 선별부터 지역사회 내 주민의 건강관리까지 의료진들의 헌신을 지켜보면서 나도 의료인이 되어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공중보건 장학제도'는 의과대학 및 간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장학금과 교육, 멘토링 등을 지원하고 있다. 면허 취득 후 일정 기간 공공보건의료 기관에서 근무하는 조건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는 우수한 공공보건 의료인력을 확보하고 지역 의료 격차를 해소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공중보건 장학제도'는 지역사회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장학금 수혜와 실무 경험을 통해 나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이에 해당 제도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선발된다면 지역사회와 공공보건의료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
2. 공중보건 장학제도
2.1. '공중보건 장학제도'를 선택한 근거(이유)
COVID-19를 통해 효과적으로 감염병 전파 차단을 위해 공공보건의료의 역할이 중요함을 깨달았다. 유증상자를 선별하는 것부터 코로나 병동 운영을 통해 지역사회 내 주민들의 건강을 확인하는 과정을 지속해서 뉴스를 통해 지켜보았다.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을 위해 헌신하는 의료진들의 모습을 보면서 나도 의료진이 된다면 내가 어렸을 때부터 자라온 지역사회에서 활동하고 싶었다. 그러던 중 타 대학 간호학과 학생들 통해 '공중보건 장학제도'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공중보건 장학생이 되면 면허 취득 후 지역사회 내 의료원에서 일정 기간 근무를 하게 된다. 그러한 조건으로 장학금, 멘토링 등의 지원을 받게 된다. 이 제도는 학생인 내가 공공보건 의료분야에 뛰어들 기회라고 생각한다. 현재도 23년도 '공중보건 장학생 모집'에 관한 공지를 기다리고 있다. 나...
참고 자료
보건복지부, 2022년 공중보건 장학제도 시범사업 안내
서한기, [이슈 In] 年 2천만 원 공중보건 장학제도, 의대생은 갈수록 외면, 연합뉴스, 2021-11-12
김상기, 지원자 없는 의대생 공중보건 장학제도. 국회 예산처 "예산 감액 필요", 라포르 시안, 2022.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