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절단(Amputation)이란?
1.1. 정의
절단이란 병소가 되는 신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만일 관절 부위에서 잘린 경우는 이단이라고 한다. 여러 원인에 의해서 특히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의 합병증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적 수술로서 행해지기도 한다. 외상성 절단사고의 경우, 2000년 기준으로 약 13만건의 사고가 있다고 접수되었으나, 현재 여러 공정의 과정이 자동화되거나 안전장치가 확보되면서 산업재해로서 나타날 수 있는 사고는 현저히 줄고 있는 추세로 2022년 기준 절단, 베임, 찔림 사고는 총 10,374건이 일어났다.
1.2. 원인
말초혈관질환(pheripheral vascular disease; PVD)은 동맥경화나 혈전 등에 의해 혈관의 단면이 좁아지고 흘러가는 혈액의 양이 줄어들면서 하지 근육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이다. 특히 당뇨병이 고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걷거나 오르막을 오를 때 쥐가 나는 듯한 증상을 느끼게 되고 휴식을 취하면 호전되는 '간헐성 파행'이 나타나지만 진행될 경우 괴사 등으로 조직 손상이 발생하여 절단 수술을 실시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외상성 절단은 자동차 사고 혹은 노동 중의 사고나 폭력 등에 의해 나타나며 주로 젊은 남성에게서 발생한다. 또한 동상, 화상, 감전 등의 사고로도 외상성 절단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절단 사고가 일어나는 부위는 다양하나 특히 손가락 혹은 발목 등에서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작은 신체 부위 및 사지 전체의 성공적인 재접합 수술이 가능하다.
1.3. 종류
절단(amputation)에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개방성 절단(open amputation)은 환부를 단면으로 절단하는 것으로 감염이 있을 때 시행하며, 삼출액의 배출을 위해 상처부위를 봉합하지 않는다. 폐쇄식 절단(closed amputation)은 환부를 절단한 후 절단부의 피부로 절단 상처를 완전히 봉합하여 폐쇄한다. 이는 절단부에 감염의 우려가 없을 때 실시한다.
족지 절단(toe amputation)은 주로 당뇨병 환자나 허혈성 사지 질환 환자에게서 발가락이 괴사된 경우 발생한다. 중족골(metatarsal) 절단(transmetatarsal amputation)은 여러 발가락이 괴사되거나 근위부까지 괴사가 진행된 경우, 감염이 동반되어 발 앞쪽 부위를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절단하는 것을 말한다. 리스프랑 절단(lustranc amputation)은 발 중간부위의 중족골과 족근골이 이루는 관절 부위를 절단하는 방법이다. 쇼파 절단(chopart amputation)은 발 중간부위의 족근골 사이 관절을 절단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중족지 관절 이단, 사임 절단 등의 족부 절단 종류가 존재한다.
하퇴 절단(transtibial amputation)은 족관절 이단부에서 슬관절 아래 하퇴부까지의 절단을, 대퇴 절단(transfemoral amputation)은 대퇴골까지의 절단을 의미한다. 상지절단에는 수부 절단(partial hand amputation), 완관절 이단(wrist disarticulation), 전완 절단(transradial amputation), 상완 절단(transhehumeral amputation), 전사반부 절단(forequarter amputation) 등이 있다. 이처럼 절단 수술은 신체 부위와 절단 범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진다.
2. 절단 사고 시 응급처치와 절단부위 상처 치유
2.1. 절단 사고 시 응급처치 방법
절단 사고 시 응급처치 방법이다. 먼저 절단사고 환자임을 밝히며 119에 신고한다. 그 후 상처를 직접 압박하거나 높이 들어올려 지혈시킨다. 깨끗한 거즈로 감싸 쇼크 예방에 도움을 준다.
절단부위를 생리식염수로 씻어 물기가 없고 깨끗한 거즈로 감싸준다. 거즈로 감싼 후 다시 큰 타월로 싼 후 비닐로 밀봉해 얼음과 물 1:1의 비율로 섞은 용기에 봉지를 담아 냉장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절단 부위를 절대 얼음물에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환자와 함께 빠르게 접합 가능한 전문 병원으로 재빨리 이송한다.
2.2. 절단부위 상처 치유
절단부의 감염을 예방하고 부종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성 드레싱이나 압박 드레싱을 적용한다. 경성 드레싱(rigid dressing)은 보철물 착용을 위해 절단부에 석고드레싱을 하고 절단부의 말단부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압박 드레싱(soft dressing)은 잦은 상처관찰이 필요한 경우 연성 압박 드레싱을 적용한다. 부목을 적용해 절단부와 보철물이 잘 맞도록 지지해줄 수 있게 한다. 또한 절단부의 피부를 강화시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