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도수 스트레칭 교육지
1.1. 오십견(Frozen Shoulder, 유착성 관절낭염) 치료 가이드라인
오십견은 어깨 관절을 싸고 있는 관절 주머니가 염증으로 인해 유착(엉겨 붙음)이 생기고 그로인해 탄력이 떨어져 상완골두와 견갑골 관절와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 관절가동범위에 제한이 생기고 통증이 유발되는 질환이다. 특징은 어깨관절 모든 운동방향으로 통증을 동반한 능동, 수동 운동범위의 점진적 제한이 있으며 만성기에는 어깨관절 주위 근육에 위축을 동반한다. 관절 가동범위의 제한은 특히 어깨관절의 외전과 내회전, 외회전에 심하다. 이러한 오십견의 원인은 일차적으로 불분명하지만 회전근개 파열, 외상, 상완이두근 건염, 호르몬 이상 등 다양한 이차적 원인으로 인해 어깨 관절에 염증이 생기고 그 염증이 관절낭으로 퍼져서 관절낭 전체가 유착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오십견 치료의 기본 원리는 첫째, 과긴장되거나 단축된 근육을 정상화 시키고, 둘째, 관절 공간이 확보 될 수 있도록 관절낭을 신장시키고 관절 활주를 통해 관절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내며, 셋째, 관절 공간이 확보되어 운동 범위가 증가하면 적절한 타이밍에 근육이 활성화 되도록 근재교육을 시키는 것이다. 그 결과 관절 가동범위가 증가 할수록 이전에 제한된 끝 범위에서의 통증은 감소된다.
치료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축된 근육의 신장과 신체 분절들의 정상 움직임 유도를 통해 신체 정렬을 한다. 둘째, 관절내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유착된 관절낭을 신장시키고 관절 안에서 활주(Gliding)가 일어나도록 한다. 셋째, 적절한 타이밍에 근육이 동원되도록 움직임 재교육 운동을 한다. 넷째, 자세 교육과 홈 프로그램을 지도하여 치료 외적인 시간에 확보된 관절 가동 범위가 줄어들지 않도록 한다.
실제 치료 사례를 보면, 50대 여성 환자의 경우 주 1회~2회 치료를 한 달 동안 지속하여 총 6회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3회 치료 후 견관절 굴곡 100도, 외전 90도, 내회전은 허리까지, 외회전은 손끝이 정수리와 1cm 정도 차이까지 가능해졌고, 6회 치료 후에는 견관절 굴곡 130도, 외전 110도, 내회전은 등허리(T12)까지, 외회전은 손바닥이 정수리를 거의 닿을 정도까지 가능해졌다. 이처럼 도수치료와 홈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