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우리사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우리사회 인권침해의 현황과 문제점
1.2. 인권침해의 개념과 유형
2. 주요 인권침해 사례 분석
2.1. 여군 성범죄
2.2.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
2.3. 장애인에 대한 차별
3. 인권침해 해소를 위한 과제
3.1. 인식 개선 및 교육 강화
3.2. 관련 법적 제도의 보완 및 강화
3.3.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 체계 마련
3.4. 피해자 지원 및 구제 방안 마련
4. 결론
4.1. 인권 존중 및 차별 해소를 위한 노력의 필요성
4.2. 사회적 합의와 정부의 역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우리사회 인권침해의 현황과 문제점
우리사회에는 여전히 다양한 인권침해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여군에 대한 성범죄,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 장애인에 대한 차별 등이 심각한 수준이다.
최근 공군 부사관의 자살 사건을 통해 여군에 대한 성범죄 문제가 부각되었다. 여군의 성범죄 신고율이 32%에 불과할 만큼 여군들은 가해자에 대한 처벌에 대한 신뢰가 낮다. 또한 여성도 징병대상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청원에 대해 정부는 여군의 군복무 환경과 성평등한 군 조직문화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이는 여군에 대한 차별과 인권침해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 역시 지속되고 있다. 성적 지향이나 성별 정체성으로 인한 폭력, 조롱, 따돌림 등 사회적 차별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특히 커밍아웃한 연예인이 많지 않은 것은 성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여전히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차별금지법 제정을 둘러싼 찬반 논란도 성소수자 인권보호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부족함을 드러낸다.
장애인에 대한 차별 또한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 장애인은 온갖 신체적, 언어적 폭력 및 범죄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임금 체불, 부당 해고 등 근로권 침해도 자주 발생한다. 최근 여주 라파엘의 집 사건에서처럼 장애인 학대 사례도 끊이지 않고 있다. 또한 많은 건물에 장애인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장애인의 이용이 어렵거나 불편하다. 이처럼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이 여전히 사회 전반에 만연해 있다.
이처럼 우리사회에는 여군, 성소수자, 장애인 등 다양한 취약계층에 대한 인권침해 사례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가해자에 대한 처벌과 제도적 보완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사회적 인식 개선과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장애인, 성소수자 등 소수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해소하고, 이들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 인권침해의 개념과 유형
인권침해의 개념과 유형
인권침해는 개인의 기본적 권리와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이다. 구체적으로는 평등권 침해, 신체의 자유 침해, 사생활의 자유 침해, 양심의 자유 및 종교의 자유 침해, 표현의 자유 침해 등이 있다. 관련 법률이 제정되고 사회적 인식이 성숙해졌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 곳곳에서 인권침해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권침해의 주요 유형으로는 여군에 대한 성범죄,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 장애인에 대한 차별 등을 들 수 있다. 여군의 성범죄 문제는 오랜 기간 지적되어 왔지만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조롱, 범죄의 대상이 되는 일도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또한 장애인에 대한 신체적·언어적 폭력, 고용 차별, 시설 이용 제한 등의 문제도 지속되고 있다. 이처럼 우리 사회에는 여전히 다양한 인권침해 사례가 존재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2. 주요 인권침해 사례 분석
2.1. 여군 성범죄
우리 사회에서 여군의 성범죄 문제는 오랫동안 지적되어 왔으나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이다. 최근 자살한 공군 부사관 사건으로 인해 여군 성범죄 문제가 다시 부각되었다이다. 여군 성범죄의 가장 큰 문제점은 신고율이 낮다는 것이다이. 피해자들은 신고해도 아무런 조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 같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신고를 꺼리는 경우가 많다이. 실제로 여군에 대한 성범죄 예방 매뉴얼이 있지만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으며, 피해자들이 이를 신뢰하지 않고 있다이. 최근 여성 징병제 도입 논의가 있었지만, 여군에 대한 차별과 처우 개선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이. 여군에 대한 성차별과 성범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군 내 성평등 문화 조성, 가해자에 대한 엄중한 처벌, 피해자 보호 및 지원 체계 마련 등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이.
2.2.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
성적 지향, 성별 정체성 등...
참고 자료
김종훈 “인구정책 및 저출산ㆍ고령화 대책 전망”, 보건복지포럼 2018년 1월 통권 제255호, pp.61-74, 2018
이재영 「15조 시니어케어 시장…턱없이 부족한 요양시설[파워시니어-금융을 바꾼다③]」, 이투데이, 2024.03.27
이희경,「노후 버팀목 안되는 공적연금… “나이 들수록 소득 불평등”」, 세계일보, 2024.05.13.
최민정. (2015). 인구정책의 지방화 연구. 환경논총, 56, 98-98
조성호. “최근 일본의 저출산 대응 방향 변화.” 국제사회보장리뷰, vol. 2023, no. 가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Sept. 2023, pp. 35–45, doi:10.23063/2023.09.4.
지은정 외 지음 “우리나라 노인의 취업실태 및기업의 노인인력 수요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5
반기웅, 「노인 1인가구 소득 70%는 정부·자녀 도움…“공적연금 지출 늘려야”」, 경향신문, 2024.02.11
방하남 외 지음, “인구 고령화와 노동시장 변화 및 노동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5
대한민국 헌법
https://law.go.kr/%EB%B2%95%EB%A0%B9/%EB%8C%80%ED%95%9C%EB%AF%BC%EA%B5%AD%ED%97%8C%EB%B2%95/
인권침해의 의의
https://easylaw.go.kr/CSP/CnpClsMain.laf?csmSeq=574&ccfNo=1&cciNo=1&cnpClsNo=1
8년새 여성 군인 3명 잃었지만…성폭력 신고율 32%뿐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97941.html
여성도 징병대상에 포함시켜 주십시오.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597687
‘호모’라 부르던 시대, 이제 개명은 됐을까
https://m.hani.co.kr/arti/society/rights/965514.html
차별하면 형사처벌 받나요?…‘차별금지법’ Q&A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221555
여주 '라파엘의 집' 거주 장애인 학대 직원 기소
http://www.cathol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402
[실제상황] 안내견과 식당에서 쫓겨났습니다
https://youtu.be/75RBIDGjxIU
“장애인이어서 죄송합니다”...부당비용 청구에 식당출입 눈치까지
http://www.idj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129673
강동욱. (2004). 장애인 취업· 임금차별에 관한 계량적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56(2), 121-144.
신광영. (2011). 한국의 성별 임금격차: 차이와 차별. 한국사회학, 45(4), 97-127.
도표출처: e나라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