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외식산업 현황 및 특성
외식산업 현황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외식산업은 사회·경제적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경기 침체와 소비 심리 악화, 코로나19 팬데믹 등의 외부 충격에 큰 영향을 받는다. 최근에는 건강과 영양을 중시하는 추세로, 웰빙과 맛의 균형을 추구하는 메뉴와 상품이 각광받고 있다. 또한 언택트 트렌드의 확산으로 배달 및 포장 서비스가 강화되고 있다. 외식업체들은 차별화된 메뉴와 서비스, 새로운 유통 채널 등을 통해 생존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외식산업은 다양한 트렌드와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며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1.2. 국수 시장의 범위와 정의
국수는 밀가루를 주재료로 하여 제조하는 식품으로, 그 역사가 매우 오래된 전통 음식이다. 한국의 국수는 멸치와 다시마로 육수를 내어 면에 넣거나 국물에 말아 먹는 한식의 대표적인 메뉴 중 하나이다. 국수 시장에는 우동, 소면, 생면, 손칼국수 등 다양한 종류의 국수 제품들이 포함되며, 이들은 면 재료와 조리법, 국물의 맛 등에 따라 구분된다. 또한 단순히 국수류뿐만 아니라 김밥, 만두와 같은 사이드메뉴 또한 국수 시장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최근에는 고객의 기호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메밀국수, 콩국수 등 다양한 형태의 국수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국수 시장은 매우 다양하고 변화의 폭이 큰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1.3.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우리나라 외식산업에서 국수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국수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국수 시장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국수는 간편하면서도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는 메뉴로 자리잡아 가고 있으며, 젊은층은 물론 전 연령층에서 폭넓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국수 시장의 성장과 함께 기존 브랜드들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차별화 전략을 모색하고 있으며, 새로운 브랜드들도 시장에 지속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국수 시장의 현황과 특성, 주요 브랜드의 동향, 그리고 시장의 미래 전망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국수 시장의 규모와 주요 브랜드를 살펴보고, 국수 시장의 특징과 트렌드를 분석하여 향후 시장의 변화와 경쟁 전략을 예측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수 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경영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국수 산업 현황 및 시장 구조
2.1. 국내 국수 시장 규모
국내 국수 시장 규모는 다음과 같다. 전국 프랜차이즈 35개 브랜드에 1,060개 점포가 운영되고 있으며, 2018년 기준 국수 전국 프랜차이즈 가맹점 총 매출액은 약 3,716억 원이다. 한식 면요리 전문점은 2018년 기준 사업체 수 22,028개, 종사자 수 61,497명, 매출액 3,134,635백만 원 규모이다. 국수 시장은 시설투자비가 상대적으로 낮고 조리과정이 간단해 누구나 쉽게 운영할 수 있으며, 테이블 회전율이 빠르고 김밥이나 만두와 같은 사이드메뉴를 함께 판매하여 단가를 높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최근에는 혼밥과 가성비를 중심으로 하는 타깃층에 소면·중면보다는 생면, 메밀전병 등의 사이드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