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케이스 열성경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5.02.04
7,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아동케이스 열성경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열성경련(Febrile Convulsion)
1.1. 개요
1.2. 원인 및 발병 기전
1.3. 증상 및 진단
1.4. 치료 및 간호

2. 급성 인두염(Acute Pharyngitis)
2.1. 정의 및 병태생리
2.2. 증상
2.3. 진단
2.4. 간호

3. 간호사정
3.1. 환아 정보
3.2. 활력징후
3.3. 진단검사

4. 간호과정
4.1. 열성경련과 관련된 고체온
4.2. 하부호흡기관 감염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5. 치료 및 간호 중재
5.1. 약물 치료
5.2. 물리적 치료
5.3. 부모 교육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열성경련(Febrile Convulsion)
1.1. 개요

열성경련(Febrile Convulsion)이란 체온이 상승하면서(39℃ 이상) 발생하는 전신성 강직성-간대성 발작이다. 3개월에서 5세 사이의 소아에서 중추신경계 감염이 아닌 다른 원인에 의한 발열 때문에 경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아동의 신경계는 정상이고 중추신경계와 상관없는 감염으로 인한 급속한 체온상승으로 초래되는 것이다. 6개월에서 3세 사이의 아동에게 흔히 발생되고, 5세 이후에는 흔하지 않다. 부모나 형제 중 열성 경련의 병력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3~4배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며, 남아가 여아보다 2배 정도 높다. 간질과 감별해야 하는데 간질은 연령에 무관하고 발작 지속시간이 몇 분에서 몇 시간으로 길고 열성경련은 항상 전신성 경련을 하는데 비해 간질은 국소성 경련을 하기도 한다. 열성 경련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부모나 형제가 열성 경련의 병력이 있으면 일반인 보다 3~4배 정도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유전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열성 경련을 유발하는 열성 질환은 약 70%가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으로 편도염, 인두염, 중이염 등이 대부분이고 그 밖에 위장염, 돌발진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고열로 인한 뇌의 산소 부족, 뇌부종, 탈수, 뇌 내독소 침입 등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열성 경련은 열이 갑자기 오르는 시기에 발생하며 경련 자체가 열성 질환의 첫 증상인 경우도 있으며, 단순 열성 경련과 복합 열성 경련으로 구분된다. 전형적인 열성 경련의 경우에는 진단을 위한 특별한 검사는 대개 필요하지 않으나 비전형적인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뇌척수액 검사, EEG, 뇌MRI 등의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열성 경련을 겪은 환자들이 외래나 응급실에 도착하였을 때는 이미 경련이 멈춘 상태가 많고 지속 시간이 짧아 대부분의 경우 경련에 대한 약물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발열의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고, 앞으로 있을 열성 경련을 예방하기 위해 항경련제를 복용할 필요는 없다. 열이 많이 나면 미지근한 물로 닦아주는 tepid water massage를 하거나 해열제 좌약을 사용하며, 의식이 없을 경우 좌약 해열제를 사용하고 입으로 아무것도 넣지 않는다. 만일 경련 중에 토하면 고개를 옆으로 돌려서 토한 것이 숨을 막지 않도록 흘려주어야 하며, 과거에도 열성경련을 일으킨 적이 있는 어린이가 고열이 날 때는 빨리 해열제를 사용하고 물을 먹여서 탈수현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열성 경련이 15분 이상 지속되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도록 부모에게 교육해야 한다.


1.2. 원인 및 발병 기전

열성경련의 원인 및 발병 기전은 다음과 같다.

열성 경련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모나 형제가 열성 경련의 병력이 있는 경우 일반인보다 3~4배 정도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유전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열성 경련을 유발하는 열성 질환의 약 70%가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으로, 편도염, 인후염, 중이염 등이 대부분이다. 그 밖에도 위장염, 돌발진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고열로 인한 뇌의 산소 부족, 뇌부종, 탈수, 뇌 내독소 침입 등도 열성 경련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신생아와 소아의 경우 뇌신경의 해부학적 미숙과 생화학적 변화도 열성 경련의 발병 기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 증상 및 진단

열성 경련은 체온이 상승하면서(39℃이상) 발생하는 전신성 강직성-간대성 발작(generalized tonic clonic convulsion)이다. 3개월에서 5세 사이의 소아에서 중추신경계 감염이 아닌 다른 원인에 의한 발열 때문에 경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아동의 신경계는 정상이고 중추신경계와 상관없는 감염으로 인한 급속한 체온상승으로 초래된다. 6개월에서 3세 사이의 아동에게 흔히 발생되고, 5세 이후에는 흔하지 않다. 부모나 형제 중 열성 경련의 병력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3~4배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며, 남아가 여아보다 2배 정도 높다.

열성 경련의 증상은 열이 갑자기 오르는 시기에 발생하며, 때로는 경련 자체가 열성 질환의 첫 증상일 수 있다. 단순 열성 경련은 중심 체온이 갑자기 39℃ 이상으로 오를 때에 잘 발생하며, 강직성-간대성의 전신 발작이 몇 초에서 드물게 15분까지 지속될 수 있다. 발작 후 단기간의 졸음을 보이고 24시간 동안 한 차례의 발작만 보이며, 양성질환으로 신경학적 후유증, 학습지연, 지능장애는 나타나지 않는다. 복합 열성 경련은 경련 시간이 15분 이상, 24시간 이내에 2번 이상 발작, 발작 수 국소 징후를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발작 후 Todd마비나 경련 부위의 마비가 나타날 수 있으며, 발작 후 후유증이 있다.

전형적인 열성 경련의 경우에는 진단을 위한 특별한 검사...


참고 자료

김미예 외. 2014. 아동건강간호학 개론
김미예 외. 2014. 아동의 건강문제와 간호, 329-331
김신정 외, 아동청소년간호학, 503-505
김조자 외,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김흥동,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질환정보-열성경련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의국 편, Severance Pediatric Guidebook -세브란스 소아과 진료 지침서-,146~148
송경애 외 공저. 최신기본간호학2. 수문사
변영순 외 공저. 기본간호학 제 3판. 계축문화사
원종순외 공저.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 2판. 현문사
하영수 외 공저. 아동청소년건강간호학. 신광출판사
정용선, 김진선(2010년). 아동의 발열과 발열관리. 아동간호학회지 제16권 제1호
드럭인포- 람노스과립, 레바킨시럽, 세토펜정, 이부날 시럽, 부데코트흡입액, 살부톨흡입액, 이연세프트리악손주, 아모부로펜, 에취투주, 염산암브록솔
서울대학교병원- 열성경련
인제대학교 부산 백병원- 열성경련
삼성서울병원 네뷸라이저(Nebulizer) 사용방법
배선준·이종화·이기영. 수액 요법: 수액의 종류와 특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박향미 외 공저. 삼성서울병원에서의 천식환자 복약지도-흡입기 사용방법을 중심으로-
가정용 네뷸라이저 똑똑한 사용설명서-정유경 기자
아동건강회복간호(p395~p39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열성 경련시 발열 정도와 열성 경련의 재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문세나·최병준·이인구·황경태)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