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인지차팅
1.1. 망상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이라고 믿거나 남들이 자기를 해치려 하거나 무엇을 훔쳐갔다고 주장하는 행동이다. 예를 들어 가족이 자신을 버리고 갔다거나 배우자가 바람을 피운다고 주장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환자들은 이러한 망상적 신념으로 인해 불안하고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망상은 현실과 괴리된 인지 기능의 저하로 인해 발생하며, 환자 개인의 배경이나 경험, 정신적 취약성 등과 관련이 있다. 치매나 정신분열병, 기분장애 등 다양한 정신질환에서 관찰되는 증상이다. 망상은 환자의 정서와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약물 치료와 함께 환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정서적 지지가 필요하다.
1.2. 환각
헛것을 보거나 듣는 등 현재에 없는 것을 실제로 보거나 듣거나 경험한다. 예를 들어 피부에 벌레가 있는 것처럼 느끼거나 벽에 사람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환각은 인지장애 환자들에게서 흔히 관찰된다. 특히 일상생활이나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한 오인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실제로 보고 듣는 것처럼 느끼게 되는데, 이는 인지기능의 저하와 관련이 깊다. 이로 인해 환자는 불안감을 느끼고 주변 사람들과의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환각 증상에 대한 적절한 중재와 관리가 필요하다. 약물 치료와 더불어 환자에게 안정감을 주는 환경 조성, 심리적 지지 등의 방법으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1.3. 초조/공격성
특별한 이유 없이 타 환자와 다툼이 잦으며 언성을 높여 본인의 말만 늘어놓고 다른 환자의 말을 가로막는 등의 배려심 없는 행동을 자주 보인다. 타 환자가 본인의 말을 듣지 않거나 본인이 원하는 대로 하지 않으면 화를 내거나 윽박지르는 등의 모습을 보인다.
이들은 자신의 고집이 세고 자신의 방식대로 하려고만 하는 양상을 보인다. 소리를 지르거나 욕을 하거나 다른 사람을 때리거나 밀치는 등 안절부절 못하는 행동을 보인다. 특히 옷을 갈아입거나 목욕할 때, 기저귀를 갈아줄 때 화를 내는 모습이 관찰된다.
이러한 공격적이고 초조한 행동은 특별한 이유 없이 나타나며, 돌연 발생하여 타인에게 큰 불편을 야기한다. 이들은 감정 조절 능력이 저하되어 있어 작은 자극에도 과격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치료진은 이러한 환자들에게 충분한 정서적 지지와 안정을 제공해야 하며, 약물 치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1.4. 우울/낙담
우울/낙담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은 슬픈 기분과 낙담을 나타낸다. 슬픈 감정이나 눈물을 흘리는 모습이 관찰되며, 기분이 저하되어 있다. 대화 시 말수가 줄어들고, 죽고 싶다거나 자살하겠다는 등의 말을 하기도 한다. 일상생활에 대한 의욕도 감소하여 움직임이 줄어들고 무력감을 보인다.
우울/낙담 증상을 보이는 환자는 어떤 특별한 이유 없이도 슬퍼 보이거나 우울해 보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