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화파수꾼과 사회복지사의역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영화 '파수꾼' 개요
3. 기태, 동윤, 희준의 문제해결을 위한 학교사회복지사의 개입
3.1. 개인적 개입
3.2. 가정환경 개선을 위한 개입
3.3. 학교환경 개선을 위한 개입
4. 학교폭력 상황에서의 방관자와 방어자 경험
4.1. 개인적 요인
4.2. 환경적 요인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영화 '파수꾼'은 학교폭력에 관한 독립영화로, 청소년기 친구들 사이의 관계와 소통의 부재로 인한 비극을 사실적으로 다루고 있다. 영화는 어느 날 아들 기태가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고, 아버지가 아들의 죽음에 얽힌 진실을 파헤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정, 외로움, 자존심, 폭력, 가정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어, 이 영화를 통해 학교사회복지사로서의 개입 방안과 개인의 경험에 비춰 학교폭력 상황에서의 방관자 및 방어자 역할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2. 영화 '파수꾼' 개요
영화 '파수꾼'은 사춘기 남학생 3명이 등장하는 작품이다. 그중 주된 인물은 기태, 동윤, 희준이다. 기태는 학교에서 인기가 많고 친구들과 장난치면서 우정을 쌓는다. 하지만 실제로는 외로움이 많은 인물이다. 동윤은 기태와 희준 사이에서 조정자의 역할을 하며, 자존심 높은 척을 하며 주변 친구들에게 휘둘리지 않으려고 애쓴다. 희준은 기태에 의해 폭행당하고 결국 전학을 가게 된다. 영화는 기태의 갑작스런 죽음 이후 아버지가 아들의 흔적을 찾아다니며 내막을 알아가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3. 기태, 동윤, 희준의 문제해결을 위한 학교사회복지사의 개입
3.1. 개인적 개입
첫째, 개인적 측면에서의 개입이다. 공격성을 가진 학생일 경우 학교폭력에 가담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학생들의 공격적 욕구를 표현하는 대상을 사회에서 용납할 수 있는 것으로 바꾸어야 한다. 즉 다른 이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올바르게 표출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분노, 거부, 거절 등을 폭력적 방법이 아닌 사회에서 수용되...
참고 자료
서진희, “생태체계적 관점으로 본 학교폭력 원인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경안신학대, 2007
홍금자, “학교폭력의 실정과 학교사회사업가의 개입” 한국학교사회사업학회, 1998
고혜석, “중학생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일장신대”, 2006
이미영, “학교폭력 가해 학생의 심리적 특성에 따른 유형화 연구”, 참례신학대, 2015
영화 <파수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