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프레이리는 어릴 때부터 빈민들의 삶과 교육에 관심이 많았다. 그는 전통적인 교육방법이 학생과 선생 간의 수직적 관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서 빈민들이 배우고 익히기에 어려운 편파적인 내용이라고 느꼈다. 이에 프레이리는 도시와 농촌의 빈민계층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실험에 참여하며 국제적인 활동을 펼쳤다. 그의 '페다고지' 교육사상은 프레이리의 생애와 활동에 전반적인 기반이 되었으며, 그는 현대 서양교육의 대표적인 인물로 현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를 고민하는 인물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프레이리와 그의 '페다고지'에 대해 알고자 이 책을 선택하게 되었다. 비록 처음에는 쉽게 읽힐 것이라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일주일 넘는 시간 동안 꾸준히 읽어나가며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주요 개념은 이해할 수 있었다. 이제부터 프레이리의 '페다고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2.1. 페다고지 소개
페다고지란 교육의 철학적 이론과 실천을 종합한 개념으로, 프레이리가 자신의 교육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용어이다. '아이를 지도한다'는 뜻을 가진 그리스어에 근본을 두고 있으며, 프레이리는 교육이 단순한 '지도'가 아닌 언제나 '변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페다고지는 억압받는 자들을 위한 혁명적이고 변혁적인 교육책이라 할 수 있다.
프레이리는 전통적인 교육방법인 은행 저금식 교육을 적극적으로 비판하며, 민주적인 문제 제기식 교육을 제시하였다. 은행 저금식 교육은 교사가 일방적으로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수직적 관계를 기반으로 하여, 학생을 수동적인 대상으로 전락시킨다. 이에 반해 문제 제기식 교육에서는 교사와 학생이 대화를 통해 공동 탐구자가 되며, 서로의 지식을 재형성해 나간다. 교사의 역할은 학생들과 함께 참된 지식을 창출하는 과정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프레이리가 주장한 교육철학의 핵심은 '인간화 교육'이다. 이는 인간다움을 회복하고 존엄성을 실현하는 교육으로, 비인간화를 극복하고 더 완전한 인간성을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프레이리는 희망, 대화, 사랑 등의 요소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하였다. 그의 교육철학은 단순히 교육방식의 변화를 넘어 인간, 세계, 삶에 대한 근본적인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2.2. 은행 저금식 교육 비판
전통적인 교육 방식인 은행 저금식 교육은 학생들을 수동적인 존재로 취급하며, 교사와 학생 간의 수직적 관계를 전제로 한다. 교사는 지식의 주체이고 학생은 단순히 객체로 여겨진다. 교사는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고 학생들은 그것을 무비판적으로 습득하여 암기하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교육 방식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표현할 기회가 없다. 대신 교사가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