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유치원 봉사활동일지
1.1. 서론
1.1.1. 자원봉사론과 우리 가족 자원봉사 프로그램
원활한 자원봉사 활동이 이어지려면, 자원봉사 참여자들이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정 기술이나 지식을 가진 이들은 자신의 지식이나 기술이 사회에서 선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도록 활용되길 원하며, 기술이나 지식은 없지만 자원봉사를 통해 인적 관계 형성을 희망하는 이들은 보람을 느낄 수 있는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다. 특히 40~60대 사이의 중년층 주부들은 일자리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비율이 전체의 49%로, 자녀들이 어느 정도 성장한 이후 남는 시간을 유익하게 보내고자 하지만 일자리 참여가 어렵고 주부를 필요로 하는 사회 내 자리가 마땅치 않다. 이러한 유후자원들을 가장 원하는 곳이 바로 자원봉사센터이기에, 자원봉사 참여도가 가장 높은 연령대가 주부층이다.
그러나 현재 주부들도 참여를 기피할 만한 단순 노동 자원봉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유인 요인이 강한 자원봉사활동 기획이 필요하다. 우리 가족은 어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가족으로, 아내는 육아휴직을 사용한 상태이며, 비슷한 신혼 부부들이 모여 살아가는 지역사회 내에서 가장 큰 욕구는 공동 육아 및 관련 자원봉사자의 참여이다. 따라서 이와 관련한 자원봉사활동을 기획 및 배포한다면 많은 이들의 공감대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1.1.2. 중년층 주부의 자원봉사 참여와 필요성
특히 40~60대 사이의 중년층 주부들은 일자리에 참여하고 있지 않는 비율이 전체의 49%이다. 자녀들이 어느 정도 성장한 이후, 남는 시간을 유익하게 보내고자 하지만, 일자리 참여가 어렵고, 주부를 필요로 하는 사회 내 자리가 마땅치 않다. 이러한 유후자원들을 가장 원하는 곳이 바로 자원봉사센터이기에, 자원봉사 참여도가 가장 높은 연령대가 주부층이다. 문제는 주부들도 참여를 기피할 만한 단순 노동 자원봉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감안하였을 때, 유인 요인이 강한 자원봉사활동 기획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1.1.3. 공동 육아 자원봉사활동의 기획
현재 우리 가족은 어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가족이다. 아내는 육아휴직을 사용한 상태이며, 비슷한 신혼 부부들이 모여 살아가는 지역사회 내에서 가장 큰 욕구는 공동 육아 및 관련 자원봉사자의 참여이다. 그러므로 이와 관련한 자원봉사활동을 기획 및 배포한다면, 많은 이들의 공감대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공동 육아 자원봉사활동의 목적은 육아휴직 및 맞벌이 부부로 지역사회 내에서 살아가는 이들을 위한 공동 육아 자원봉사 활동을 실시함으로써, 육아의 사회화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