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목표관리(Management By Objectives, 이하 MBO)는 영어로 Management By Objectives라고 쓰고 주로 MBO라는 약어로 사용되며, 관리의 효율화를 목적으로 하는 포괄적 조직관리 체제를 의미한다. MBO는 상부와 하부를 막론하고 가능한 한 많은 조직 구성원들의 참여를 통하여 조직 단위와 구성원의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그에 따라 생산활동을 수행하도록 한 뒤, 업적을 측정·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조직의 목표설정에서부터 책임의 확정, 실적의 평가, 개인 또는 조직단위의 활동에 이르기까지 효과적으로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려는 참여적 관리기법 내지 관리체계이다. 오늘날 대규모 조직에서는 MBO의 기법을 흔히 사용하고 있는데, 그 기원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화학회사인 듀퐁사에서 실시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부기관에 처음 도입된 것은 1970년대 초반 미국의 닉슨행정부였다. 그러나 목표관리의 성격이나 정신은 이미 1910년대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에서 발견되었으며 그 기본 개념은 1930년대 중반 연방정부의 행정과 조직에 관한 귤릭의 연구에서도 나타나 있다. 그리고 MBO가 구체적인 관리기법으로 체계화된 것은 1950년대에 미국의 경영학자이자 현대 경영학을 창시한 학자로 평가받는 피터 드러커에 의해서였다.
2. 목표관리의 정의와 목적
2.1. 목표관리의 개념
목표관리(Management by Objectives, MBO)란 조직의 상위층과 하위층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효과적으로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려는 관리기법이다. MBO는 조직 구성원들의 참여하에 주어진 기간 내에 달성해야 할 최종목표 및 중간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한 발전계획을 수립하며, 예산, 인력 등의 자원을 배분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한다. 즉, MBO는 조직 전체와 개인 구성원 모두의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2. 목표관리의 필요성
목표관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경쟁의 가속화와 급격한 기술발전, 저성장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필요하다. 기업은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생존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종업원들의 능력 개발과 사회 가치관 변화에 따른 욕구를 충족시켜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목표관리 제도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
둘째, 종업원의 무기력화를 방지하고 근로의욕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조직의 거대화에 따라 종업원들이 무기력해지는 경향이 발생하는데, 목표관리를 통해 종업원의 자율성과 동기를 높일 수 있다. "
셋째, 관리자와 구성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도모할 수 있다. 목표 설정 단계에서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므로 조직 전체의 소통 능력이 향상된다. "
넷째, 피고과자의 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