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정신과 의학용어 개관
1.1. 정신과적 증상
기억력 장애는 기억의 저장, 회상, 인출 능력이 저하되는 것이다. 기억상실(amnesia)은 기억력 장애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으로, 전진성 기억상실과 후진성 기억상실이 있다. 전진성 기억상실은 사고 이후의 기억을 상실하는 것이고, 후진성 기억상실은 사고 이전의 기억을 상실하는 것이다. 또한 기억과다(hypermnesia), 기억착오(paramnesia), 기시감(déjà vu), 미시감(jamais vu) 등의 증상도 나타난다.
지각 장애는 감각기관을 통한 정보 획득과 처리 과정의 장애로 나타나는 증상이다. 환각(hallucination)은 실제 자극이 없는데도 존재하는 것처럼 지각되는 현상이며, 청각 환각, 시각 환각, 촉각 환각, 미각 환각, 후각 환각 등이 있다. 착각(illusion)은 실제 존재하는 자극을 잘못 지각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지각 위축, 지각 과장, 지각 왜곡 등의 증상이 있다.
사고 장애는 생각의 과정과 내용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사고의 비약(flight of ideas), 사고의 차단(thought blocking), 사고의 지리멸렬(incoherence), 보속증(perseveration), 신어조작증(neologism) 등이 대표적이다. 망상(delusion)은 현실에 부합하지 않는 비정상적인 신념으로, 피해망상, 과대망상, 관계망상 등이 있다.
정서 장애는 감정의 변화나 표현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불안(anxiety)은 미래에 대한 위협감이나 두려움으로,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공포증 등이 있다. 우울(depression)은 슬픈 감정, 무기력감, 흥미 저하 등이 특징이다. 조증(mania)은 기분이 들뜨고 과잉행동이 나타나는 것이다. 정서적 불안정, 정서적 둔마 등도 정서 장애에 속한다.
행동 장애는 비정상적이거나 부적절한 행동으로 나타난다. 자해(self-harm), 공격성, 충동성, 과잉행동, 퇴행, 방황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또한 강박행동, 반사회적 행동, 연극적 행동 등도 행동 장애의 범주에 속한다.
1.2. 정신과적 장애
정신과적 장애에는 다양한 유형이 있다. 불안 장애는 불안, 공포, 긴장 등의 증상이 두드러지는 장애이다. 기분 장애는 우울감이나 들뜬 기분 등의 감정 문제가 주된 증상이다. 조현병 및 망상 장애에는 망상, 환각, 와해된 사고 등이 나타난다. 해리 장애는 정신적 기능의 분리로 인해 기억력, 정체성, 인지 등의 장애가 나타난다. 성격 장애는 비정상적인 행동 및 대인관계 패턴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신체형 장애는 신체화된 증상이 핵심 증상이며, 물질 관련 장애는 물질 남용 및 의존 문제가 나타난다.
불안 장애에는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공포증 등이 있다. 범불안장애는 과도한 걱정과 불안이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이고, 공황장애는 예기치 않은 공황 발작이 특징이다. 다양한 대상에 대한 공포증도 불안 장애에 포함된다.
기분 장애에는 우울증, 양극성 장애 등이 포함된다. 주요 우울 장애는 지속적인 우울감과 흥미 상실을 보이며, 양극성 장애는 우울 삽화와 조증 삽화가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조현병은 사고, 지각, 행동 등의 기능 장애가 나타나는 대표적인 정신병적 장애이다. 망상, 환각, 와해된 사고, 음성 증상 등이 주된 증상이다. 조현정동장애는 조현병과 기분 장애의 특징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경우이다.
해리 장애에는 해리성 정체성 장애, 해리성 있음증, 비현실감 장애 등이 있다. 기억력, 정체성, 인지 등이 분리되어 나타나는 것이 핵심 증상이다.
성격 장애에는 경계성, 반사회성, 자기애성, 회피성 등 다양한 유형이 있다. 비정상적인 행동 및 대인관계 패턴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신체형 장애는 신체화된 증상이 핵심이며, 건강염려증, 전환장애, 통증 장애 등이 포함된다. 물질 관련 장애에는 알코올 사용 장애, 약물 사용 장애 등이 있다.
이처럼 정신과적 장애는 매우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특징적인 증상과 양상을 보인다.
1.3. 정신과적 치료법
정신과적 치료법은 전반적인 정신건강 증진과 정신과적 증상 및 장애 관리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약물 치료, 심리 치료, 기타 치료법 등 다양한 정신과적 치료법이 있다.
약물 치료는 정신과적 질환의 증상 관리와 치료를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주요 약물 치료에는 항정신병약물, 기분안정제, 항우울제, 수면제 등이 있으며, 각 질환과 환자의 특성에 맞는 약물 치료가 이루어진다. 약물 치료는 증상 완화와 악화 예방에 효과적이지만, 장기적 복용 시 부작용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심리 치료는 정신과적 문제에 대한 이해와 통찰을 바탕으로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는 방법이다. 대표적인 심리 치료에는 정신분석, 인지행동치료, 집단치료 등이 있다. 정신분석은 무의식 탐색과 정신역동적 접근을 통해 내적 갈등을 해소하고, 인지행동치료는 왜곡된 사고 패턴을 교정하여 행동 변화를 도모한다. 집단치료는 집단 내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성 향상과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심리 치료는 정신과적 증상과 장애의 근본 원인 해결에 효과적이다.
그 외에도 전기경련요법, 경두개자기자극요법, 명상요법, 미술요법 등 다양한 기타 치료법이 활용된다. 전기경련요법은 강력한 뇌 활성화를 유도하여 우울증과 조현병 등의 치료에 쓰이며, 경두개자기자극요법은 자기장을 이용하여 뇌 기능을 조절한다. 명상요법은 스트레스 관리와 정서적 안정에, 미술요법은 내면 표현과 소통 증진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기타 치료법들은 약물 치료와 심리 치료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정신과적 치료법은 정신 질환의 특성과 환자의 개별적 요구에 따라 적절한 방법이 선택되어야 한다. 복합적 치료 접근을 통해 증상 개선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인 관찰과 평가를 바탕으로 치료법을 조정하여 최적의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정신과적 증상
2.1. 기억력 장애
기억력 장애는 기억 능력이 손상되어 과거의 경험을 회상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기억하는 능력이 저하된 상태이다. 기억력 장애에는 다양한 유형이 있는데, 전진성 기억상실(anterograde amnesia)과 후진성 기억상실(retrograde amnesia)이 대표적이다. 전진성 기억상실은 사고 이후의 기억을 상실하는 것이고, 후진성 기억상실은 사고 이전의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