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애인에 대한 인식실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우리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실태
2.1.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 실태
2.2.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편견
3.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한 방안
3.1. 장애인 의무고용률 강화
3.2. 장애인 차별금지법 강화
3.3. 장애인식개선 교육 및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
3.4.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접촉 기회 확대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 장애인 등록자 수는 261만 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한국 사회에는 많은 장애인이 있지만, 유감스럽게도 많은 장애인들이 사회적 편견과 차별로 인해 정상화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단순히 장애를 가졌다는 이유로 취업에서 영구적으로 배제되거나 배우자를 만나지 못해 결혼을 하지 못하는 장애인도 적지 않다. 이를 바탕으로 본 과제에서는 우리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인식 실태를 설명하고, 장애인에 대한 편견에 대한 성찰 및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2. 우리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실태
2.1.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 실태
현재 우리나라 장애인 등록자 수는 261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국민 21명 중 1명이 장애인 등록자라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장애인을 우리사회 구성원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장애인은 취업에서 배제되고 있으며, 결혼 상대자를 구하지 못해 미혼인 상태로 여생을 보내고 있다.
지난 2021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발표한 '장애인 사회적 차별 경험' 자료에 따르면, 취업에서 차별을 경험한 경험이 있는 장애인 비율은 약 35.8%로 나타났고, 결혼시 차별 경험율은 약 13.2%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인 아동 및 청소년 중 학교에서 차별을 경험한 적이 있는 비율은 약 47.1%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사회 장애인이 사회 거의 모든 영역에서 온갖 차별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뿌리 깊은 사회적 편견으로 정상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강력한 증거이다. 이를 뒷받침이라도 하듯 우리나라 장애인 취업률은 30년째 40%를 넘지 못하고 있으며, 성인 장애인 중 약 48%가 미혼상태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애인 또한 한국사회 공동체 일원이자 우리 이웃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장애인을 대상으로 자행되는 각종 차별을 철폐할 필요가 있다.
...
참고 자료
장애인복지론, 저자 김동진, 김진선 외 3명, 출판 퍼플, 2023.03.31.
고명수 외(2018), 장애인복지론, 동문사
보건복지부(2017), 장애인현황
보건복지부(2017), 장애인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16), 장애인 경제활동지표
권선진(2004), 장애인차별실태와 인권의식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평택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이종남 외(2018), 장애 인식개선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송정원 외(2019), 발달장애인 지역사회생활에 관한 주민의 태도에 공동체의식이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73~176p
연합뉴스(2016.06.28) “머리염색 52만원, 최신폰·무제한 요금제 강요…장애인은 피눈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