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궁경관무력증 IIOC 간호진단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궁경관무력증(IIOC)
1.1. 질병의 정의
1.2. 원인 및 임상 증상
1.3. 진단검사
1.4. 치료 및 간호 중재
2. 간호사례
2.1. 일반적 간호정보
2.2. 현병력
2.3. 과거력
2.4. 가족력
2.5. 정신적, 사회적 상태 사정
2.6. 신체적 상태 사정
2.7. 진단검사 및 결과
2.8. 일반적 검사 결과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궁경관무력증(IIOC)
1.1. 질병의 정의
자궁경관무력증(IIOC)은 자궁경관의 구조나 기능에 결함이 있어서 진통 없이 자궁경부가 열려(개대), 임신 28주 이전에 태아가 나오는 경우를 말한다. 자궁 경부란 흔히 말하는 자궁문을 이야기하며, 임신의 유지 및 분만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상적으로는 임신 동안 태아와 자궁 크기의 변화와 상관없이 단단하게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지만, 그 후 임신 말기나 분만 시기가 되면 자궁 경부는 부드러워지고 길이가 짧아짐으로써 분만에 용이하도록 변화한다. 그러나, 임신 중반기에 자궁 경부가 이러한 역할을 유지하지 못하면 자궁 문이 열리게 되고 그로 인해 양막이 파열되거나 태아가 배출된다. 이러한 상황이 통증 없이 발생했을 경우, 자궁경관무력증이라고 한다. 이는 자연 유산이나 습관성유산 및 조산의 주요 원인이 되는 질환으로 모든 분만의 0.05~2%를 차지한다. 또한, 자궁경관무력증은 조산의 10%, 임신 중반기 태아 손실의 20~25% 정도의 원인이 된다.
1.2. 원인 및 임상 증상
자궁경관무력증의 원인 및 임상 증상은 다음과 같다.
자궁경관무력증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선천적인 경우나 자궁경관이 손상을 받은 기왕력이 있는 경우로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궁경부암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자궁경부 원추 절제술의 기왕력, 자연 또는 인공 유산 시에 시행하는 소파수술 기왕력, 자궁경부에 선천적으로 이상이 있는 경우, 자궁 경부를 약화시키는 호르몬에 선천적으로 노출되었을 경우, 조기 분만 또는 과거력상 임신 중기 조기 분만한 경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자궁경관무력증의 임상 증상으로는 맑은 냉이 많아짐, 이슬과 비슷한 출혈, 배가 자주 뭉침, 양막이 불룩하게 질로 나옴 등이 있다. 자궁경관무력증은 임신 20~25주에 잘 생기지만 그 전이나 후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수술하지 않은 산모는 재발을 잘 하는데 재발 시기는 과거에 조산했을 때보다 점점 빨라지는 경우가 많다. 봉합 수술을 한 산모는 재발률이 낮지만 한다면 대개 과거보다 조금 늦어진다.
1.3. 진단검사
자궁경관무력증은 대개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진단이 지연될 수 있다. 하지만 몇 가지 검사방법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우선, 임상적 병력에 기초하여 반복되는 임신 ...
참고 자료
https://m.whodadoc.com/healthInfo/diseaseDic/%EA%B8%89%EC%84%B1%20%EC%A7%
88%EC%97%BC
은병원, 검진정보: http://www.eunhospital.co.kr/post/891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약품정보검색:
인제대학교, 질병정보: https://hallym.hallym.or.kr/hallymuniv_sub.asp?left_menu=left_health&screen=ptm821
https://www.paik.ac.kr/clinic/malady/jilhan03_vi.asp?p_gu=view&p_seq=10&p_cid=29&p_bid=13&p_hp=DA&p_buseo=DEPT_A&p_fld4=/rollover
[네이버 지식백과] 자궁 경관 무력증 (차병원 건강칼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01798&cid=63166&categoryId=51024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312&CONT_SRC=CMS&CONT_ID=3385&CONT_CLS_CD=0010200
01007
박인양 등(2005). “조기 양막 파열의 진단법의 비교”, 대한산부인과학회, Vol.48(No.9), 2112-2118
양선희 외 공저(2021). 기본간호학 Ⅱ 제4판. 서울: 현문사, 3-214
박영주 외 공저(2021). 여성건강간호학 Ⅰ 제5판. 서울: 현문사, 233-236
박영주 외 공저(2021). 여성건강간호학 Ⅱ 제5판. 서울: 현문사, 134-137, 215-233
황옥남 외 공저(2019). 성인간호학 상 제7판. 서울: 현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Submain.do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List.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