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업을 한 개 선정하여(본인이 재직 중인 회사도 가능) 7, 9주차 강의내용을 기반으로“기업의 STP전략 보고서”를 작성해 보세요. 예시) “삼성의 STP전략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기업의 STP 전략 개요
1.2. 사례 기업 소개
2. 본론
2.1. 시장 세분화(Segmentation)
2.1.1. 세분화 기준 및 방법
2.1.2. 국내외 시장 세분화
2.2. 표적 시장 선정(Targeting)
2.2.1. 타겟 고객군 선정
2.2.2. 타겟 시장 진입 전략
2.3. 포지셔닝(Positioning)
2.3.1. 경쟁사 분석 및 차별화 전략
2.3.2. 브랜드 이미지 구축
3. 결론
3.1. STP 전략 요약
3.2. 기업의 성과와 시사점
3.3. 향후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기업의 STP 전략 개요
STP 전략은 시장 세분화(Segmentation), 표적 시장 선정(Targeting), 포지셔닝(Positioning)의 약자로 소비자 수요에 맞추어 기업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자 하는 마케팅 전략이다. 시장 세분화는 고객 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장을 구분하는 것이며, 표적 시장 선정은 해당 기업의 역량과 자원에 따라 유망한 고객 집단을 선정하는 것이다. 포지셔닝은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통해 고객의 마음속에 특정한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것이다. STP 전략은 기업이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도 효과적으로 마케팅할 수 있게 해주며,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할 수 있게 해준다. 기업은 STP 전략을 통해 목표 고객을 명확히 하고, 그들의 니즈에 정확히 부합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STP 전략은 기업의 마케팅 활동을 체계화하고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핵심적인 마케팅 프레임워크인 것이다.
1.2. 사례 기업 소개
현대자동차가 제네시스를 출시하려고 하는 시점에 국내 시장에서는 수입차 시장점유율이 지속해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대형 승용차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이는 국내 고객이 대형차 구매 시 수입 브랜드로 이탈하는 비율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이 시장에서 가격대가 가장 높은 럭셔리급 수입 브랜드 자동차를 보유한 소비자들 가운데 50% 정도는 이전에 국산 브랜드를 구매했던 소비자로 나타났다. 이보다 한 단계 낮은 프리미엄급 수입 브랜드 보유자 중 90%는 과거에 국산 브랜드를 구매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 시장에 고급 승용차 시장은 럭셔리급 시장과 준럭셔리 시장으로 구분되는데 이 시장에서 현대자동차는 상품성과 브랜드 이미지 모두 일본과 유럽 수입차들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졌다. 이러한 준럭셔리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일본과 독일 브랜드에 경쟁할 수 있는 성능과 품질을 갖춘 신차 개발이 요구되었고, 한 단계 더 높은 브랜드 이미지를 필요로 했다.
2. 본론
2.1. 시장 세분화(Segmentation)
2.1.1. 세분화 기준 및 방법
자동차 시장의 세분화 기준은 먼저 지리적 기준으로 국내시장과 북미 시장으로 나눌 수 있다. 국내시장에서는 현대자동차를 포함한 국내 자동차와 일본 및 독일 수입 차량으로 구분하고 차량 크기에 따라 준대형, 대형차로 시장을 나눌 수 있다. 북미 시장에서는 준럭셔리 시장과 럭셔리 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렇게 구분할 때 가장 큰 기준 중 하나는 가격과 독일 브랜드의 내부 차량 등급 구분이다. 준럭셔리 시장에는 벤츠의 C-class, BMW의 3-Series가 포함되고 럭셔리 시장에는 벤츠의 E-class, BMW의 5-Series가 포함된다.
따...
참고 자료
마케팅원론, 교재
깐깐한 美소비자, 성능-가격 무장한 제네시스에 빠지다, 동아비즈니스리뷰, 2011년 7월, 고려대학교 이종호
한국 및 북미시장에서 제네시스의 포지셔닝과 상표확장 전략, 한국마케팅저널, 2011년 4월, 전선규, 현영석, 정유정
2026년 글로벌 자동차 1위 업체가 바뀐다. 2023. 4. 19. 삼성증권, 임은영 팀장
정의선, 車제값받기 통했다. DealSite, 2024. 1. 29, (출처 : https://dealsite.co.kr/articles/117107)
세스 고딘, 마케팅이다 (세스 고딘의), 쌤앤파커스, 2019.04.05.
오세조 외 2명, 마케팅원론 (고객 중심과 시너지 극대화를 위한, 제3전정판), 박영사, 2017.02.25.
안광호 외 2명, 마케팅원론 (고객 지향적 접근, 제8판), 학현사, 2023.02.25.
조셉 미첼리, 스타벅스 경험 마케팅 (세계 최고 커피 브랜드의 경험 전략), 유엑스리뷰 (UX REVIEW), 2018.02.01.
유승호, 스타벅스화 (스타벅스는 어떻게 낭만적 소비자들의 진지가 되었나), 따비, 2019.03.30.
교재
마케팅 믹스전략, 성공 유형별 사례실습 김병욱 저 | 킴스정보전략연구소 | 2015.04.01
시장지향적 비즈니스 마케팅전략 안광호(대학교수), 김동훈 외 1명 저 | 학현사 | 2011.09.05.
마케팅원론 안광호 저 | 학현사 | 2018.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