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저출산과 경제성장에 대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저출산 문제의 이해
1.2. 저출산 현황
2. 저출산의 원인
2.1. 여성들의 가치관 변화와 일자리 진출
2.2. 과도한 경쟁 시스템, 자녀 양육에 대한 사회적 지원 부족
2.3. 혼인율의 감소
3. 저출산으로 인한 문제점
3.1. 경제성장의 위기
3.2. 노년부양비의 증가, 국민부담의 발생
4. 우리나라의 출산 장려 정책·제도
4.1. 임신과 출산에 관한 지원정책
4.2. 일과 가정의 양립환경 조성
4.3. 자녀양육비경감을 위한 정책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저출산 문제의 이해
저출산은 '합계출산율이 인구 대체수준을 밑돌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과거 저출산의 원인은 경제적 문제로 인식되었으나, 점차 개인주의, 가치관의 다원화, 성격 문제, 인간관계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특정 종교와 사상에 기반한 결혼 강요, 가부장제 약화 등으로 저출산 문제가 수면 위로 등장하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970년대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1980년대 중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2년의 합계출산율은 1.2명으로, 1970년대와 비교하면 3.3명의 자녀, 1980년대와 비교하면 1.6명의 자녀를 적게 출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9년 세계 저출산율 순위에서 0.92로 전 세계 최하위를 기록하며,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의 출산력 변천이 종료되었으며 저출산 행태가 이미 정착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1.2. 저출산 현황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970년대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2002년 합계출산율은 1.2명으로 1970년대와 비교하면 3.3명의 자녀를, 1980년대와 비교하면 1.6명의 자녀를 적게 출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2019년 세계 저출산율 순위에서 0.92로 전 세계에서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이는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통계이며, 이러한 극단적인 저출산 현상은 앞으로 더욱 우려할 만한 상황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이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는 현상은 이미 저출산이 본격적으로 정착되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2. 저출산의 원인
2.1. 여성들의 가치관 변화와 일자리 진출
여성들의 학력이 상승함에 따라 더 높은, 좋은 일자리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는 결혼연령을 늦춰지게 만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아이를 출산하는 연령이 높아지게 되면서 자연스레 자녀의 수가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여성들의 학력이 상승함에 따라 노동시장의 진출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녀양육보다 본인의 자기개발이나 자아실현에 더 많은 관심으로 가치관의 변화가 생겨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여성들의 관심이 다변화되어 과거에 1차적으로 여성이 담당해야했던 자녀육아와 자녀출산의 관심도가 줄어들게 된 것이다.
2.2. 과도한 경쟁 시스템, 자녀 양육에 대한 사회적 지원 부족
과도한 경쟁 시스템과 자녀 양육에 대한 사회적 지원 부족이 저출산의 또 다른 원인이다. 자녀를 양육하고 돌봐야 할 부모들에게 너무 큰 부담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첫째, 우리 사회에는 과도한 교육 경쟁 시스템이 자리 잡고 있다. 부모들은 자녀가 좋은 대학에 가고 좋은 직장을 얻기 위해 사교...
참고 자료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편,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Ⅰ, 수문사(2019), p28-31
Public Health Affair 대한공공의학회지
http://pha.or.kr/journal/Table.php?xn=pha-1-1-19.xml&id
의협신문, 공공의료' 벗어나 '공중보건' 새 틀 정립해야, 송성철 기자 good@doctorsnews.co.kr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5881
Medical observer, "공중보건 시스템 제기능하려면 보건부 분리해야", 박선재 기자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6481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
이현승, 김현진 (2003) 「늙어가는 대한민국」 삼성경제연구소
최숙희・김정우 (2006), 「외환위기 이후 저출산의 원인 분석」 삼성경제연구소
통계청 (2012), 「베이비부머 및 에코세대의 인구ㆍ사회적 특성분석」
익명, <저출산>,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저출산 / 2020. 11. 24)
익명, <합계출산율>,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합계출산율 / 2020. 11. 24)
현성민, 「경제적 자원이 결혼연기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2009, 8~10쪽.
유세기, 「한국 인구구조 변화가 GDP성장율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2019, 5~26쪽
배민환, 「우리나라 저출산의 원인 및 출산 장려 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석사학위, 2007, 4~10쪽.
최문숙, 「저출산 정책과 해결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2007, 38~87쪽
허정원, <출산율 0.92명...세계 꼴찌 기록 또 경신>, 《중앙일보》, 2020. 02. 27, 제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