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직업윤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일과 직업의 의미
1.2. 직업의식과 직업윤리의 중요성
1.3. 연구 목적 및 내용 구성
2. 직업윤리의 변천
2.1. 우리나라 직업윤리 변천
2.1.1. 전통사회에서 직업윤리
2.1.2. 현대사회에서 직업윤리
2.2. 외국의 직업윤리 변천
2.2.1. 일본의 직업윤리
2.2.2. 미국의 직업윤리
3. 직업윤리 현황과 개선 방안
3.1. 직업윤리의 현황
3.1.1. 학교에서의 직업윤리교육
3.1.2. 기업에서의 직업윤리교육
3.2. 직업윤리 개선 방안
3.2.1. 실질적 교육방법 개발
3.2.2. 교육 기회 및 제도 보완
4. 결론
4.1. 연구 요약
4.2. 올바른 직업윤리 형성을 위한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일과 직업의 의미
일과 직업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인류에게 일이란 근본적으로 사람의 생존을 위해 필요한 행위이다. 하지만 이러한 정의는 더욱 확장되어서 생존을 넘어 인간의 삶을 더욱 풍족하고 행복하게 해주는 것, 일 그 자체를 하는 것과 일의 결과로 인해서 긍정의 감정을 느끼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행위는 현재로 오면서 빠르게 진화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단순히 자신과 가족의 몸을 즐겁게 해주는 일종의 놀이이자 즐거움으로 작용하는 행위였으나, 현재에는 지배력이 행사되는 공간이나 상황에서 발생하며 단순히 자신의 경제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행동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가 점점 복잡해지고 분업화 되면서 서로의 일이 서로에게 큰 영향을 주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직업이란 이러한 일 중에서 한 사람이 담당하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일의 영역을 말한다. 즉 직업이란 일에서 특정한 요소를 통해서 선별한 일의 영역을 말하는 것이다.
1.2. 직업의식과 직업윤리의 중요성
개인은 자신의 직업에 대한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개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직업의식이란 직업에 대한 개인의 태도, 가치관, 신념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직업의식은 개인이 직업 활동을 영위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개인의 직업의식이 올바르게 형성되기 위해서는 직업윤리가 필요하다. 직업윤리는 사회적 규범으로서 모든 직업에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진로 일반의 윤리와 특정 직업군이 담당해야 할 사회적 역할인 특수직업의 윤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러한 직업윤리를 갖추고 있다는 것은 개인이 자신의 직업을 활용하여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개인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개인이 자신의 직업에 대한 긍정적이고 충실한 의식을 가지고 있다면, 이는 곧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직업윤리를 실천하고자 하는 자세로 이어질 수 있다. 반대로 개인의 직업윤리가 잘 갖추어져 있다면, 직업에 대한 긍정적인 의식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는 서로를 강화하는 관계에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직업 활동을 통해 사회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직업의식과 직업윤리의 중요성은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3. 연구 목적 및 내용 구성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윤리에 대한 개념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우리나라와 외국의 직업윤리 변천 과정을 살펴보며, 현재 직업윤리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첫째, 직업의 개념과 직업윤리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직업은 개인의 생존을 위한 수단일 뿐만 아니라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개인과 사회의 이익이 상충할 때 직업윤리가 이를 중재하고 유기적인 상생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전통사회와 현대사회에서의 우리나라 직업윤리 변천 과정을 고찰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교적 영향으로 인해 직업의 지위와 폐쇄성, 집단주의 등의 특성이 나타났다. 현대사회에서는 서구화의 영향으로 이러한 전통적 직업윤리에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일본과 미국의 직업윤리 변천 과정을 살펴본다. 일본은 무사계급 중심의 전통과 집단주의적 가치를, 미국은 청교도와 프로테스탄트 윤리관을 바탕으로 직업윤리가 발전해 왔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직업윤리의 특성과 변화 방향을 이해할 수 있다.
넷째, 학교와 기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직업윤리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실질적인 교육 방법의 개발과 교육 기회 및 제도의 보완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올바른 직업윤리 형성을 위한 방향을 모색한다.
이와 같이 직업윤리에 대한 전반적인 ...
참고 자료
육동인. "역사적 대규모 건설공사의 실명제를 통해 본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분석." 국내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경기도
시신서 금니 10개 뽑아 훔친 장례지도사 검거”, 대한장례지도사혐회 뉴스, 2020. 05. 14.
윤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3310&cid=50765&categoryId=50778 (2020.12.03)
직업, https://ko.dict.naver.com/#/entry/koko/6723d40577fe4700ae324d13d8d40800 (2020. 12.04)
직업윤리, https://ko.dict.naver.com/#/search?query=%EC%A7%81%EC%97%85%EC%9C%A4%EB%A6%AC (2020.12.04)
세계화, https://ko.dict.naver.com/#/search?query=%EC%84%B8%EA%B3%84%ED%99%94 (2020.12.04)
정보화, https://ko.dict.naver.com/#/search?query=%EC%A0%95%EB%B3%B4%ED%99%94 (2020.12.04)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choiym24&logNo=221222836209
김기홍, 이지연, 정윤정- “한국인의 직업윤리에 관한 연구”(1999)
하동명 - “미국화학공학회의 직업윤리규정과 우리의 안전의식”(2003)
김필동 - “일본인의 의식구조- 근세서민의 생활 직업윤리를 중심으로”(2017)
강원일 - “직업윤리교육의 강화방안데 관한 연구”(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