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성범죄예방교육의 필요성
최근 들어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장애학생은 성범죄에 더욱 취약한 상황에 놓여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성범죄예방교육이 필요하다. 장애학생은 신체적, 정신적 제약으로 인해 자신을 보호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으며, 주변인의 보호와 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장애학생에 대한 성범죄는 단순한 성폭력이 아닌 인권침해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 이에 대한 예방과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최근 장애학생 성범죄 발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2년부터 2015년 상반기까지 장애인 성범죄 관련 소송 상담 건수를 비교해 보면, 2012년 약 650건에서 2013년 약 850건, 2014년 약 920건, 2015년 상반기 약 570건으로 급격히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지적장애를 가진 피해자가 78%를 차지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특별한 관심과 보호가 필요하다. 또한 가해자와 피해자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반 이상의 성폭력 사례에서 가해자가 평소 알고 지내던 사람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순히 낯선 사람의 위협이 아니라 가까운 사람으로부터의 성범죄 위험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이처럼 장애학생에 대한 성범죄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심각한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성범죄예방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장애학생은 일반 학생에 비해 성범죄에 더욱 취약할 뿐만 아니라, 발생 시 그 피해 또한 크기 때문에 이들을 보호하고 예방하기 위한 교육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성범죄예방교육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2. 장애학생 인권침해 유형과 보호 방안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은 금지되며, 학교는 장애학생이 입학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정당한 편의제공을 해야 한다. 또한 장애를 이유로 한 괴롭힘, 성적 자기결정권 침해, 모욕적 언어표현은 금지된다. 장애인의 프라이버시권 침해 역시 금지되며, 이와 관련된 범죄사실이 명확할 경우 형사고발조치와 민사소송이 가능하다.
장애학생의 경우 비장애학생과는 구별되는 전문적인 인권보호 방안이 수립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이행훈련을 통해 실제상황 발생 시 대비가 필요하다. 또한 지속적인 관리와 감독을 통해 사안 발생 전후 관리가 필요하다. 교사나 학교의 장은 신고의 의무가 있으며, 합리적 의심이 든다면 반드시 신고해야 한다.
1.3. 장애학생 대상 학교폭력 유형과 보호 대책
장애학생은 학교폭력의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다.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폭력에는 여러 유형이 있다.
첫째, 신체 및 정신적 건강을 해하는 범죄가 있다. 폭행 및 상해, 유기 및 학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장애학생의 잘못된 행동을 바로잡기 위해 보호자의 동의를 얻어 체벌한 경우에도 정당한 학생지도권의 범위를 넘어선 경우 폭행죄에 ...